낙엽이 추운 지방부터 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낙엽이 설악산같은 추운지방부터 남쪽으로 드는 과학적 이유와 낙엽은 왜 푸른색이나 연두색에서 갈색처럼 변화되는지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날씨가 추워지면 나무들은 월동준비를 합니다. 여름에는 날씨가 따뜻하고 물이 충분히 공급이 가능해서 잎에서 광합성을 왕성하게 할수 있어서 녹색을 내는 엽록소가 왕성하게 광합성을 하기 떄문에 녹색을 내지만 겨울이 되면 건조해져서 물이 충분하지 못해서 엽록소가 광합성을 하기 힘들어 지면서 많이 소멸되고 그러면 엽록소로 인해 보이지 않던 카로틴 또는 크산토필이 보이기 시작하면서 붉은색과 노란색이 보이고 이마저 분해되어 없어지면 탄닌 색소가 보이면서 갈색으로 변하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낙엽이 되는 과정 자체가 나무가 추운 계절을 대비하여 영양분의 소비를 최소화 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추운 계절이 먼저 찾아오는 지역에 낙엽이 먼저 생기는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추운 지방 부분에 있는 낙엽은 더 이상 광합성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나머지 나무에 비해 에너지 소비가 불필요합니다. 낙엽은 나무가 생존에 필요한 영양분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추운 지방의 낙엽이 떨어지면서 그 영양분을 보존하고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온은 적도부터 북극, 남극 방향으로 이동할 수록 떨어집니다. 그래서 북쪽방향 남쪽방향으로 낙엽이 생깁니다.
단풍이 지고 낙엽이 떨어지는 이유는 나무의 겨울나기(월동준비)준비를 하는것입니다. 겨울 동안 나무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고 나무 내에 있는 수분을 최소화(수분이 얼면 부피가 증가해 손상을 입기때문에)하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그 중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잎과 나뭇가지 사이에 떨켜층을 형성하여 나뭇잎에 수분 공급을 중단시키고, 나뭇잎에서 나무로 영양분이 전달되지 않게 됩니다. 이렇게 겨울나기를 준비하기 시작하는 시기는 온도가 떨어지고, 일교차가 커지는 시기입니다. 나무도 생물이기 때문에 주변 온도를 감지하고 변화를 시작하죠.
봄부터 여름까지 엽록소가 만들어지면서 초록 잎을 유지하였지만 가을이 되면서 이 엽록소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이유는 떨켜층에 의해 나뭇잎에 수분이 부족해지고 영양분이 쌓여 산성을 띠게 되면서 엽록소가 분해됩니다. 나뭇잎에는 색소에 관여하는 성분(카로티노이드, 안토시아닌 등)이 있으며, 엽록소가 분해되면서 이것과 섞여 노란, 주황, 빨강, 핑크 등으로 색이 바뀌어 단풍이 지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낙엽이 설악산 같은 추운 지방부터 남쪽으로 드는 이유는 온도입니다. 온도가 낮아지면 낙엽의 엽록소가 분해되어 잎이 갈색으로 변합니다. 엽록소는 잎이 녹색을 띠게 하는 색소로,햇빛을 받아서 광합성을 합니다. 온도가 낮아지면 엽록소가 분해되어 광합성을 할 수 없게 되고 잎이 갈색으로 변합니다.낙엽이 푸른색이나 연두색에서 갈색으로 변하는 이유는 엽록소의 분해와 함께 카로티노이드와 안토시아닌의 생성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카로티노이드는 잎에 노란색 주황색 붉은색을 띠게 하는 색소이고 안토시아닌은 잎에 붉은색 자주색을 띠게 하는 색소입니다. 온도가 낮아지면 엽록소가 분해되면서 카로티노이드와 안토시아닌의 생성이 증가하여 잎이 갈색으로 변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식물의 잎은 엽록소라는 물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엽록소는 햇빛을 받아서 광합성을 하여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만듭니다. 그러나, 온도가 떨어지면 엽록소가 파괴되기 시작합니다. 엽록소가 파괴되면 낙엽의 색이 푸르던 연두색에서 갈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낙엽이 갈색으로 변하는 이유는 엽록소 이외에도 다른 색소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엽록소가 파괴되면 다른 색소가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색소는 갈색, 노란색, 빨간색을 띠고 있습니다. 따라서, 낙엽이 갈색으로 변하는 것입니다.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