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나비나비
나비나비24.02.20

고려시대 인종이후 무신정권이 된계기는?

고려공부중인데 인종이후 갑자기 무신집권기로 가던데 무신집권기가된 이유와 배경이 궁금합니다.

설명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무신정변은 고려 의종 24년인 1170년 8월에 고려의 무신들이 개경 인근의 보현원에서 일으킨 정변으로, 경인년에 일어났다고 하여 경인의 난(庚寅亂)이라고도 부릅니다. 무신정변의 원인으로는 문신과 무신의 차별, 문신의 횡포와 무신들의 불만, 한뢰의 사건, 그리고 사회적 동요 등이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 고려의 실권이 문신 귀족 중심에서 무신으로 옮겨가게 되었습니다. 무신정변 이후 고려는 무신들의 권력 장악과 무신 정권의 수립, 몽골 침략에 대한 저항, 그리고 무신 집권기의 도래라는 큰 변화를 겪게 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들은 고려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쳐 사회 구조와 정치 체제가 크게 변화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 무신정권의 성립은 1170년정중부 등에 의한 무신정변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무신정변의 원인은 문신 중심의 정치가 행해져 상대적으로 무신들에 대한 차별 대우가 있었다는 점과 의종의 방탕한 생활로 인해 국가 기강이 무너져 권력을 가진 문신들이 상대적으로 무식했던 무신들을 무시하기 시작했다는 점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170년(의종 24) 무신 정중부(鄭仲夫) 등에 의해 일어난 정변인 무신정변을 통하여 무신들이 집권하게 되었던 것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부식 등 믄벌귀족들은 숭문천무를 실시하여 무신을 천대하였습니다. 이에 1170년 정중부 등 무신들은 무력으로 문신들을 제압하고 의종을 폐하고 명종을 세워 권력을 장악하였습니다. 무신정권은 정중부 경대승 천민출신 이의민 최충헌 최우 등으로 100여년간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