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맞불을 놓아 불을 끈다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맞불을 놓아 불을 끈다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영화나 책에서보면 화재가 났을때 맞불을 놓아 화재를 진압하는 장면이 나오는데요
쉽게 이해가 가지 않아 질문 올려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맞불은 주로 초원에 발생한 불이나 산불을 진화하는 방법으로 불의 진행방향에 존재하는 가연성 물질들을 미리 태워버려서 불의 전진을 막는 방법입니다.
숲속과 들판에는 죽은 나무 덤불, 마른 풀 등 연소가 가능한 물질이 많이 있습니다. 산불이 번져가는 방향의 앞 쪽에 미리 통제가능한 불을 발생시켜서 이러한 연소 물질을 제거해서 더이상 산불이 번지지 못하도록 막는 방법이 맞불 작전입니다. 숲과 초원에 거세게 일어난 화재를 진화할 때 맞불은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원래 화재의 전면부로 움직이는 다른 불을 발생시켜서 두개의 불이 충돌하면 탈 것이 남지 않아서 불을 빠르게 진화할 수 있습니다.
불이 연소되기 위한 조건은 산소, 열, 그리고 태워야할 물질인 가연물이 필요합니다.
맞불의 경우는 불이 진행되고 있는 반대방향으로 모든 가연물질을 미리 태워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않게 하기 위한 최후의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