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솔직한고니는너무피고내요님56
솔직한고니는너무피고내요님5623.08.15

일제 강점기의 주요 배경과 원인은 무엇인가요?

다른나라에게 점령을 당하는건 그나라 국민으로서 엄청 자존심 상하고 정말 싫은 역사인데 일제 강점기가 시작된 배경과 원인이 어떤거였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의 제국주의로 산업화를 통해 자본주의가 된 국가들은 자본주의의 특성인 공급과잉 문제에 필연적으로 봉착, 공급과잉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시장의 개척이 필요, 시장을 개척하기 가장 좋은 방법은 식민지를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메이지 유신을 거쳐 일본의 막부 체제가 종식되고 천황과 내각에 의한 중앙집권적 통치가 이루어지면서 열강들의 기술, 제도를 받아들여 산업화가 본격화 되었고 일본은 다른 국가와같이 자본주의가 들어섰고 이는 공급 과잉의 문제를 낳게 됩니다.

    다른 열강들이 식민지를 차지했던 것과 같이 일본 또한 같은 선례를 따르며 제국주의화 되었으므로 일본제국령 조선은 일본 제국주의화의 결과였습니다.

    19세기 후반 제국주의의 식민지 쟁탈전의 일환으로 탈아입구를 외치던 일본 제국은 조선이 수교를 거부하자 이를 명분으로 사이고 다카모리가 조선 정벌을 위한 정한론을 제기, 당시 제정 러시아는 남하 정책으로 한번도 침략을 꾀하고 있었습니다.

    명성황후는 흥선대원군과의 권력 다툼으로 초기에는 친일 개화파를 원했지만 김옥균 등이 갑신정변을 일으키자 청나라 병력을 사용, 정변을 진압하고 일본을 견제, 청일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면서 이번에는 러시아를 끌어들여 일본 세력을 견제합니다.

    1876년 2월 27일 강화도 조약 이후 일본은 조선을 합병하기 위한 장기적 계획을 수립, 1894년 청일 전쟁과 1905년 러일 전쟁에서 승리하며 한반도에 대한 합병을 가시화합니다.

    이후 일본 제국주의자들은 영일 동맹 및 태프트-가쓰라 밀약 등의 조약을 체결, 한국 진출을 본격화 합니다.

    일제는 1905년 11월 17일 을사늑약으로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얻는 것에 이어 한일신협약과 기유각서 등으로 대한제국의 배타적 권리를 흡수, 국내에서는 일진회와 이완용이 한일 합방에 협력합니다.

    1909년 7월 한국의 흡수가 일본 내각에서 결정, 이후 1909년 10월 26일 안중근이 이토 히로부미를 총살, 그러나 이 사건을 명분 삼아 일본 내에서 제국주의자들은 한국 합병에 대한 목소리를 높이며 병합의 추진이 가속화됩니다. 윤치호는 당시 이를 두고 한중근의 이토히로부미 암살이 한일 합방 가속화의 빌미로 사용되었다는 기록을 남겼습니다.

    1910년 8월 29일 한일병합조약이 체결, 대한제국은 멸망하고 한반도는 일본 제국의 영토로 편입됩니다.

    당시 일본은 대한제국을 조선으로 , 대한제국의 황제를 이왕 으로 바꾸어 불렀고 결국 한반도 지역 전체가 일본 제국의 식민지가 되어 통치 기구인 조선총독부에 의해 1945년 까지 35년간의 통치를 받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구 열강들을 비롯하여 일본은 우리나라 무역을 위해 통상압력을 해왔으나 흥선대원군은 쇄국정책으로 통상교섭을 척결해왔습니다. 그러나 프랑스는 병인사옥으로 프랑스신부들이 희생당한 것을 빌미로 병인양요를 일으켜 강화도를 침략하여 우리 문화재를 약탈해갔으며 미국은 제너럴셔먼호 공격을 빌미로 신미양요를 일으켜 역시 강화도를 공격하여 통상을 오구하게 됩니다. 일본 또한 운요호 사건을 계기로 거센 통상압럭을 가해서 1905년 강화도 조약을 통해 우리나라를 침략할 수 있는 명분을 갖게되고1910년 한일합방이라는 명분으로 우리나라를 지들의 손아귀에 넣게 되어 무려 35년간의 일제강점기를 거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후기 세도정치와 삼정의 문란으로 매우 부정부패가 일상이 되어버렸습니다.12세 고종이 어린나이로 즉위 하자 아빠인 흥선대원군이 대신 정치를 담당하였는데 흥선대원군은 개혁개방 즉 서양과의 교류를 하지 않았고 오히려 배척하자는 척화비를 세웠습니다


    그때 일본이 가장 먼저 메이지유신으로 근대식국가로 발전하였고 청나라도 양무운동을 하였습니다.


    그때 조선은 개혁문을 꽁꽁 닫고 사상만을 중시했습니다.그때 국제정세는 영국이 식민지를 확대하던 시대였기에 일본도 식민지 지배에 욕심이 차오른 겁니다.(이 당시 영국의 별명:해가 지지 않는 나라-식민지가 너무 많아서)


    일본은 조선에게 강화도조약,제물포조약,한성조약 등등 으로 괴롭혔고. 1900년 이후부턴 심해지게 시작했습ㄴ다. 결국 일본은 1909년 기유각서를 체결하면서


    사법권을 박탈시켰고 경술국치(한국 신민지회)를 하며 국권을 박탈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제 35년은 한국 민족의 장구한 역사상 단 한 번 있었던 민족의 정통성(正統性)과 역사의 단절의 시기였다는 점에 치욕적인 특성이 있다.


    일본은 1860년대의 메이지유신을 전후해서 급격히 근대화의 길을 걸으면서, 종래 조선 정부의 대일외교정책에 순응하여 수동적으로 관계를 유지하던 대(對)조선의 외교방향을 수정하고, 1876년(고종 13) 강화도조약을 체결함으로써 조선을 침략하고자 하는 의도를 본격적으로 드러내기 시작했다.


    일본은 대원군의 하야로 개국으로 급전(急轉)한 조선 정계의 기류를 타고, 조선의 문호 개방을 명분으로 한반도에 상륙한 이래, 개화파와 수구파의 쟁패(爭覇), 임오군란·갑신정변 등 격변 속의 조선정계에 교묘히 대처·편승하면서 꾸준히 세력을 부식하여 나갔다.


    1894년의 동학운동을 계기로 종래 조선의 종주국이었던 청국과 일전을 겨루어 청국세력을 한반도에서 밀어내는 데 성공하였다. 이후부터는 갑오개혁으로 조선의 개국 이래의 정치제도를 개혁하는 데 깊이 관여하게 되었고, 명성황후 시해(弑害)를 주도한 이후에는 한때 러시아 세력에 밀려나기도 하였으나, 러·일전쟁에 승리하여 한반도에서 정치·군사·경제상의 우위(優位)를 점하였다.

    1904년 2월 러시아와 전쟁 중이던 일본은 한국 정부를 강압하여 한일의정서(韓日議定書)를 성립시켜 내정간섭의 발판을 만들고, 같은 해 8월에는 제1차 한일협약인 ‘한일외국인고문용빙에 관한 협정’을 체결하게 하여 고문정치를 시작하면서 본격적인 식민지화 공작에 들어갔다. 1905년 제2차 한일협약인 을사늑약을 체결하여 이에 따라 1906년 2월 통감부를 설치하고, 이른바 보호정치를 펴 외교권을 대행하는 등 실질적인 지배에 들어갔다.


    이어 1907년 7월에는 헤이그특사사건을 구실로 고종황제를 강제 퇴위시키고, 정미 7조약(丁未七條約)을 강제하여 통감이 입법·사법·행정 전반에 걸친 통치권을 전단(專斷)하도록 하였으며, 한국인 대신(大臣) 밑에 실권을 장악하게 하는 일본인 차관을 두는 차관정치를 실현하였다. 또한 ‘한국 사법 및 감옥사무위탁에 관한 각서’를 통해 한국의 사법권을 탈취하였으며, 이어 한국군대를 해산하였고 한일경찰관을 통합하여 한국 경찰관을 일본 관헌의 지휘감독하에 두었다

    마지막 단계로 1910년 8월 22일 합병조약의 체결을 강행함으로써 일제의 한국식민화 침략은 완성되었다. 여기에는 한국위정자들의 무능과 이완용(李完用)을 필두로 한 친일내각, 이용구(李容九)·송병준(宋秉畯) 등으로 대표되는 일진회(一進會) 등 매국노들의 반역행위도 큰 몫을 하였고, 미국·영국 등 열강국들의 묵인도 일본에게 도움을 주었다. 일본은 한국병합을 달성한 뒤 종래의 통감부를 폐지하고 보다 강력한 통치기구인 조선총독부를 설치하여 같은 해 10월 1일부터 구체적인 한반도의 경영에 들어갔다.


    이로부터 시작되는 조선총독부의 한반도 지배는 시대에 따라 다소 정책의 변동이 있었으나, 일관된 정책은 효율적인 식민지배를 위한 탄압, 영구예속화를 위한 고유성(固有性) 말살 및 우민화(愚民化), 철저한 경제적 수탈 등이었다. 일제강점기 35년은 ① 제1기:무단통치시기(1910∼1919), ② 제2기:문화정치시기(1919∼1931), ③ 제3기:병참기지화 및 전시동원시기(1931∼1945)의 3시기로 구분된다.

    출처 :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