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기 떼쓰기 행동이 왜이러나는지 심리학적인 원인 그리고 부모의 바람직한 대처방법이 궁금한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지인의 3살아이가 원한는걸 안들어주면 바닥에 드러눕고 울고불고 난리라고합니다..
마트나 식당같은데 가면 더 심해져서 너무 힘들다는데
이런게 나중에 성격형성에도 안좋을거 같고요..
심리학적으로 왜 이런 행동을 하는것인지 어떻게 대처해야 좋을지 고민이라네요 ㅠ
3세 아이가 원하는게 되지 않을 때 떼를 쓰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자아가 강하지는 시기에는 아이가 자아중심성이 강합니다.
따라서 자기가 하고 싶은걸 하기 원하며 이로 인해서 갈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아이가 떼를 쓸 때는 어떻게 대처할지 난감하기만 합니다.
또한 그런 상황에서는 어떤 말을 해도 통하지 않습니다.
어느정도의 원칙을 세워서 일관성 있게 훈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떼를 쓰고 우는 행동에 반응을 해주다보면 그 행동이 강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아이의 감정을 공감하고 관찰한 상황을 말해줍니다.
그런 다음 상대방의 감정을 이야기해줍니다.
마지막으로 '다음부터는 원하는게 있을 때는 울거나 고집을 피우지 말고, 직접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이 떼를 부리는 이유는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기 때문 입니다.
현재 아이는 아직 완전한 성숙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미흡한 부분이 있겠습니다.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전달하는 것이 미숙하기 때문에 떼를 부리는 것으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는 것인데요.
그러나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는 수단이 떼를 부리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이는 옳지 않음을 아이에게 알려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가 떼를 부린다면 아이의 행동을 제지하고 아이를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곳으로 아이를 데리고가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하게 떼를 부리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떼를 부리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을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알려주세요
또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고자 한다면 떼를 부리는 것이 아니라 언어로 부드럽게 조곤조곤 전달해야 함을 알려주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유아기 떼쓰기는 자아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부모는 일관된 규칙을 세우고, 감정을 인정하며 대안을 제시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유아의 떼쓰기는 자율성과 독립성을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부모는 감정을 이해하고 안정적인 경계를 설정하며, 대화로 상황을 설명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유아기에 떼쓰기 행동은 자연스러운 발달과정으로 자기중심적 사고를 위주로 타인을 배려하는 걸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죠
안녕하세요.
떼를 쓰는 건 아이가 원하는 바를 쟁취하기 위해서 본능적으로 일어나는 행동으로서, 아이가 원하는 것을 얻기 위재 하는 행동이에요. 이는 상황에 따라서 다르지만 기존에 가정에서 아이가 떼를 썼을 때, 물건을 사주었거나 등의 경험이 있다면 그러한 성공 경험을 이미 습득하여 떼를 쓰면 원하는 바를 이루어줄 거라는 학습이 되었을 수도 있어요.
어렵더라도 이렇게 떼를 쓴다고 해서 원하는 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험을 하지 않도록 해주셔야 하고, 미리 외출하기 전이나 등 여러 번 약속을 하여 안된다는 사실을 반복적으로 상기해 주시는 게 좋아요. 가능한 감정적으로 대하기보다는 아이가 진정이 되면 차분히 이야기를 나눌 것을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