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22.02.13

아이에게 꿀을 먹이면 큰일나는건가요?

꿀이 마냥좋은건줄 알았는데 아이들에게는 꿀을 먹이게 되면 큰일 날 수도 있다고 하더라구요 정말로 아이들에게 꿀을 먹이면 안되는건가요? 왜 꿀을 먹이면 안되는건가요? 몇살부터 먹여야 하는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의사입니다.

    맛있는 이유식을 주고 싶은 마음과 건강에 좋은 조미를 해주시고픈 마음에

    어머님들은 꿀을 써볼까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결론을 말씀드리면 돌 전의 아이에게서 꿀은 먹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가끔 미용에 사용하는 보톡스란 주사를 아시지요?

    사실 보톡스는 근육마비를 일으켜 주름을 예방하는데요.

    꿀에서 이러한 독소를 만드는 보툴리누스 균이 소량 있습니다.

    물론 굉장히 소량의 독소를 만들어 내기때문에 큰 아이나 성인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돌전의 아이들은 내성이 적어 문제가 될 수 있답니다.

    그러면 돌 이후에는 가능하냐고 물어보시고 싶으실텐데

    제 개인적으로 돌 이후에도 가능한 권하지 않습니다.

    저는 가능한 <단 맛>의 노출을 만3세까지는 피하는게 좋다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우리의 뇌가 만3세까지 활발하게 성장하는데 일단 이전에 <단맛>에 노출되면

    이후도로 영구히 단 맛을 선호하는 뇌의 성향을 버릴 수 없게 됩니다.

    물론 과일이라든지 자연적인 단 맛은 상관없지만

    다당류의 총집합제인 꿀, 사탕, 젤리 등은 가능한 만 3세전에 느끼지 않는 게 좋습니다.

    물론 대부분의 아이들은 이미 노출되어 있긴 합니다만

    가능한 그 양을 줄여주시고 좀 더 중화된 단맛으로 바꿔주시길 권유드려요.

    건강한 육아에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1살이 되지 않은 아이에게 꿀을 먹이지 않는 것이 좋아요. 꿀의 보툴리누스균이 아기의 몸으로 들어가면 매우 위험한 합병증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꿀을 끓여 먹으면 괜찮다고 알고 계신분들이 계시는데 그렇지 않아요. 가열을 하려면 100도에서 6시간 이상 가열해야 보툴리누스균이 사라지기 때문에 잠깐 가열하는 것으로는 없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겠네오~


  • 안녕하세요.

    꿀에는 보툴리너스 균이 있는데

    돌 전에는 저항력이 없어서 병을 일으킬 수 있지만

    돌 지난뒤에는 먹여도 된다고 들었는데

    갓난아기는 체질을 알기 어려우므로 부모님 중에서 꿀이 맞지 않는 분이

    있으면 먹이지 않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밥을 먹기 시작하는 아이들은 먹어도 되지 않을까요?

    다만 생꿀이 아닌 음식에 넣어서 먹는 건 괜찮을 것 같아요

    영양 카테고리에 질문을 하시면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돌 전까지는 면역력이 약하므로 꿀을 먹으면 안됩니다.

    하지만 아이들은 성인보다도 체온이 높기 때문에 꿀을 많이 먹으면 안되는 걸로 알고 있어요

    꿀은 면역력체계도 도움이 되고 감염예방, 세균증식을 억제해주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육아·아동 분야 전문가 김성훈아동심리삼당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영아의 경우 꿀의 독성으 섭취한 후 신경마비, 근육마비, 간 손상 등의 이상현상이 생길 수 있으며 매년 꿀로 인해 사망하는 아기들이 발생하고 있으니 아기에게 꿀은 몸에 좋은 음식이라기보다 독에 가깝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두세살 정도의 너무 어린 아이가 아니라면 아이들도 어른들과 마찬가지로 적당량의 꿀을 먹을 경우 면역력과 복통, 설사 등에 좋은 효과가 있습니다.

    단, 돌 이전에는 아이에게 절대 꿀을 먹이면 안되는데요, 꿀에는 보툴리누스균이 있어 이 균이 만들어내는 독을 아이가 해독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아이가 알레르기가 있을 경우도 있기 때문에 두세살 이후에 우유나 미숫가루 등에 타서 조금씩 먹여보며 아이의 컨디션을 관찰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진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12개월 정도까지는 꿀을 먹이지 않으시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이유는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늄 이라는 균의 포자가 들어있어 포자가 발아해 성장하면 독소를 생성하기 때문이

    라고 합니다.

    그 독소가 갓 태어나서 돌 정도까지의 아기에게는 많이 위험할 수 있다니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찬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 입니다.

    꿀에는 다양한 영양 성분이 있지만

    아직 소화 기능이 약한 아기에게는 오히려 독으로 작용해요.

    박테리아의 일종인 보톨리누스균과 보톨리눔 성분을

    죽일 수 있는 소화능력이 없어

    식중독과 근육마비를 일으킬 수 있어요

    [출처] 1살 미만 아기, 영유아는 절대 꿀을 먹어선 안되는 이유|작성자 허니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생후 12개월 미만의 아기에게 벌꿀을 먹이면 영아 보툴리누스증 식중독에 걸릴 위험이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영아 보툴리누스증'이란 면역기능이 약한 1세 미만의 영아에서 발생하는 질병으로 원인체인 '보툴리누스균'의 포자가 소화 기능이 발달하지 않은 영아의 장내에 살아남아 발아∙증식하고 신경독소를 생성하는 식중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