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커머스 수입물량의 급등 시 AI가 자율통제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대형 할인 쇼핑 시즌 등 물량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통관 흐름을 AI가 스스로 제어하여 E커머스 물량 통관을 관리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E커머스 수입물량이 폭증하면 기존 인력 중심 방식은 지연이 생기기 쉬운데, AI가 패턴을 학습해 자동 분류와 위험도 평가를 하면 통관 흐름을 일정 부분 자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상 거래는 신속 처리하고, 의심 건만 선별해 세관에 넘기는 방식입니다. 다만 법적 책임과 최종 판정은 세관 권한이므로 AI가 전면적으로 통제하는 건 어렵고, 보조 도구로서 물량 급증 시 병목을 줄이는 역할로 현실성이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추후에는 충분히 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 다만 이러한 AI가 활용되기 위하여는 충분한 물류 인프라가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물류 인프라가 제한이 되어 있다면 AI가 훌륭하여도 이를 활용하는데 제한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I는 이러한 물류 인프라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고 설계 및 물량에 대한 설정 단계부터 세밀하게 조정을 하여야되는 점 참고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E커머스 물량이 몰려들 때 제일 먼저 흔들리는 부분이 사실 인력 처리 속도입니다. 통관 서류 검증이나 위험도 분석 같은 건 사람이 직접 하는 데 한계가 있으니까요. AI를 적용하면 단순 반복적인 서류 대조나 패턴 분석은 상당히 줄일 수 있습니다. 특히 위험 징후를 자동으로 걸러내고 정상 건은 빠르게 통과시키는 방식이 현실적입니다. 다만 문제는 세관 절차가 법적 책임을 전제로 움직이기 때문에, AI가 완전히 자율적으로 통제한다기보다 보조 도구 역할이 강할 수밖에 없습니다. 결국 시스템은 효율을 높여주지만, 최종 판단은 관세 당국과 사람의 손을 거칠 수밖에 없는 구조라서 자율화의 범위는 제한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