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모레도손꼽히는갈비탕
모레도손꼽히는갈비탕

설탕이 산화환원 반응에 어떻게 참여할 수 있나요?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과 과망가니즈산 수용액을 섞은 용액에 막대사탕을 휘저으면 색이 변하는 실험을 했는데요!

이 실험에서 막대사탕의 설탕때문에 산화환원 반응이 일어나 용액의 색이 변하는 거라고 하더라구요.

근데 제가 알기로는 설탕이 비환원당인데 어떻게 산화환원 반응에 참여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자당은 보통의 환경에서는 환원성이 강하지 않은 비환원당으로 분류되지만, 특정 조건 하에서는 산화환원 반응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자당의 분자 구조에서는 각 당 분자(글루코스와 프럭토스) 사이의 글리코사이딕 결합이 존재합니다. 이 결합은 자당이 환원당으로 작용하지 못하게 합니다. 그러나 특정 강력한 산화제의 존재 하에서 자당 분자의 일부가 산화되어 환원성을 띨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과망간니즈산 칼륨(MnO₄⁻)과 같은 강력한 산화제는 자당을 산화시켜 다양한 화합물로 분해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과망가니즈산 이온은 전자를 받아 MnO₂와 같은 저발염 상태로 환원되면서 용액의 색이 변합니다. 이런 반응에서 자당은 산화제로부터 전자를 빼앗기며 산화되고, 결과적으로 산화제는 환원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설탕은 비환원당으로, 자체적으로는 산화환원 반응에 쉽게 참여하지 않습니다. 이는 설탕이 포도당과 과당이 글리코사이드 결합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알데하이드나 케톤 그룹이 비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실험에서 설탕이 포함된 막대사탕이 과망가니즈산과 반응하는 경우, 과망가니즈산염(KMnO₄)은 강력한 산화제로 작용하여 설탕의 분자 구조를 산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설탕은 간접적으로 환원제로 작용하며, 과망가니즈산염은 환원되어 망가니즈 이온(Mn²⁺)으로 변합니다. 이 반응은 용액의 색 변화를 유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