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영민한하운드167
영민한하운드16723.06.29

포괄임금제에서 기본급과 고정OT수당 질문

안녕하세요 포괄임금제에서 기본급과 고정OT 계산식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포괄임금제 연봉 : 55,750,000 원]

- 고정ot 30시간 포함

[연봉 외 고정적 지급의 자격수당 월 100,000원]

2가지 상황일 때

1. 통상시급 = (연봉 + 자격수당 12개월치) / 12개월 / 254시간

2. 기본급 = 통상시급 x 209시간

3. 고정OT 30시간 = 통상시급 x 30시간 x 1.5배

이렇게 계산을 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

    네, 급여 계산은 그와 같이 산정하시면 됩니다.

    답변 도움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1. 통상시급 = (연봉 + 자격수당 12개월치) / 12개월 / 254시간

    2. 기본급 = 통상시급 x 209시간

    3. 고정OT 30시간 = 통상시급 x 30시간 x 1.5배

    이렇게 계산을 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 네, 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질문자님이 적어주신대로 1. 통상시급 = (연봉 + 자격수당 12개월치) / 12개월 / 254시간 2. 기본급 = 통상시급 x 209시간

    3. 고정OT 30시간 = 통상시급 x 30시간 x 1.5배로 계산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1. 월 고정ot가 30시간인 것으로 이해합니다.

    통상시급=(연봉+자격수당 1년분)÷(48÷7×365+30×1.5×12)=(55,750,000+1,200,000)÷3,043=18,715

    2. 월 기본급=18,715×209=3,911,435

    3. 고정ot수당=18,715×30×1.5=842,175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고정적으로 지급하는 자격수당은 통상임금에 포함되고, 고정 ot 시간도 위와 같이 계산하는 것이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