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에게 짜증내지않는 방법이 있을까요?
아이랑 얘기하다보면 자꾸 잔소리하게 되고
그럼 아이는 짜증내고 저도 같이 짜증을 내게 되버립니다.
짜증내지않는 방법이 있을까요?
아이와 대화를 하거나 함께 있는 동안 짜증을 내지 않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부모가 나쁘거나 아이가 문제라는 것보다는 감정의 흐름을 조절하는 기술이 필요한 순간이라는 뜻입니다.
잔소리 대신 공감형 대화로 전환합니다.
내 감정 먼저 알아차리기, 대화의 목적을 통제에서 이해로 바꿉니다.
경계선은 단호하게, 감정은 부드럽게
칭찬과 긍정적 강화를 적절하게 활용하는게 좋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에게 짜증을 내지 않고 말을 전달하는 방법은
단 하나 입니다.
화가 나고 짜증이 나는 감정이 울컥 올라오면 아이의 곁에서 잠시 떨어져 눈을 감고
긴 호흡으로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기를 반복하면서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혀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입니다.
어느 정도 마음이 진정되면 아이를 다시 불러 앉히고 아이와 이야기를 나누어 보는 시간을 가져보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말하기 전에 감정을 다스리고, 잔소리 대신 구체적 요청과 공감, 질문을 활용하며, 아이와 규칙을 정하는 습관을 들이면 짜증의 악순환에서 벗어 날 수 있습니다. 부모도 완벽하지 않을 수 있으니 실수해도 스스로 용서하며 꾸준히 노력하는 태도도 중요하구요.
안녕하세요.
아이와 대화할 때, 짜증이 나는 건 자연스러운 감정이지만, 먼저 부모가 숨 고르기부터 해야 합니다.
화를 내기 전에 깊게 숨을 쉬거나 잠시 자리를 피하며 감정을 가라앉혀 보세요.
말하기 전에 핵심 메시지만 간단하게 전달하고, 장황한 잔소리는 줄이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표현을 먼저 해주면, 서로 짜증이 번지는 상황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사춘기 아이와 대화할 떈 감정이 쉽게 충돌할 수 있습니다. 먼저 짜증을 줄이려면 대화 목적을 '통제'가 아니라 '공감'에 두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말할 땐 끝까지 들어주고, 즉각 반박하거나 훈계하지 않고 '그렇구나, 네 생각은 그렇구나'처럼 짧게 공감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