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지인의 아이들이 잘못했을때 이야기 해주는것 괜찮을까요?

아이들은 그래도 잘못된것을 이야기를 해줘야 맞을것 같은데요.

지인의 아이들이 잘못을 했을때 이야기를 해야 하나 아니면 모른척 해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지인의 아이가 잘못을 했다 라면

    직접적으로 그 잘못됨을 일러주면서 행동 교정을 하시려고 하긴 보담도

    이러한 아이들의 행동을 아이 부모들에게 전달을 하여 아이의 잘못된 부분의 대한 행동지도를 부탁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지인의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했을 때 이를 어떻게 대해야 할지 고민스러운 일입니다.

    아이가 명백히 잘못한 행동을 보일 때는 모른 척하기보다는 상황에 맞게 부드럽게 올바른 행동을 안내해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예를 들어, "이렇게 하면 친구가 속상할 수 있어"처럼 구체적으로 상황을 설명해주면 아이가 자신의 행동을 이해하고 돌아볼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감정적으로 훈계하거나 상대방 부모의 양육 방식을 비판하는 듯한 태도를 피하는 것입니다. 아이가 받아들일 수 있도록 차분하고 존중하는 말투로 이야기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부모가 곁에 있다면 먼저 부모에게 상황을 알리고 함께 대처하는 것이 예의입니다. 직접적으로 혼내기보다는 모두가 함께 있는 자리에서 자연스럽게 올바른 행동을 안내하는 방식이 더 좋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지인의 아이가 잘못 했을때 이야기 해줄 경우 이이의 부모가 어떻게 받아들일지 생각해야 합니다. 자짓하면 서로 감정이 상하고 오해의 소지가 있기 때문에 조심스럽습니다. 부모와 지인들이 있는 자리에서의 잘못이라면 부모도 알고 있기 때문에 이야기 하지 않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하지만 외부에서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하고 다니는것을 목격했다면 부모에게 이야기 해주는것이 맞을것 같습니다.

  • 지인의 아이들이 잘못했을 때 어떻게 해주는 것이 좋은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직접적인 훈육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황이 심각하거나 반복된다면 지인에게 조심스럽게 이야기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대신 'ㅇㅇ가 조금 위험한 행동을 했는데 혹시 평소에도 그런 편이야?' 등으로 부드럽게 말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려운 문제이기는 합니다. 그 아이의 보호자님이 조금 이해할 수 있는 분이라면 넌지시 말을 해주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다만, 보호자님도 이미 알고 있고 방어적인 성향을 지닌다면 말하더라도 오히려 그걸 방어적으로 받아들이고 오히려 무어라 할 수 있으므로, 관련하여 어떻게 받아들일지를 면밀히 보는 게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