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자산관리

초록산
초록산

스트래티지의 부채비율은 얼마인가요?

스트래티지가 지속적으로 비트코인을 매입하고 있다고 들었는데요. 스트래티지의 현 재무상태가 안전한 수준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스트레티지의 부채 비율에 대한 내용입니다.

    현 시점에서 보자면 스트래티지사의 총부채비율은

    총자산 대비한 것에서 약 24퍼센트 내외의 부채비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마이크러스트래지는 비트코인 매입을 지속하며 2025년 1분기 약 600억 달러 상당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지만, 최근 비트코인 평가손실로 1분기 순손실이 42억 달어에 달했습니다. 총부채는 약 68억~82억 달러 수준으로, 대부분이 전환사채 등 저금리 장기채이나, 비트코인 가격 급락시 유동성 리스크가 커질 수 있습니다. 소프트위아 본업 매출은 감소세이고, 재무 건전성은 약화되고 있어 비트코인 가격 변동에 따라 재무상태가 크게 흔들릴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스트래티지의 부채는 약 82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반적인 기업에 비하여 지나치게 높다고 보기는 어려우나, 자산 대부분이 비트코인으로 구성되어 있어 리스크에 크게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마이크로스트레티지의 부채비율은 약 24.44%로 확인됩니다. 이는 비교적 안정적인 재무구조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Strategy의 부채비율에 대해 살펴본 결과, 가장 최근 분기(25년 3월 말 기준) 기준으로 부채비율은 약 24%입니다. 이 수준은 과거에 비하면 상당히 안정적인 수준입니다. 24년 말 기준 부채비율은 약 39%였고, 23년에는 100% 이상이었던 시기도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부채비율이 크게 감소하여 재무 건전성이 개선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Strategy는 지속적으로 비트코인을 매입하며, 이 블록 채굴 전략을 부채 및 신규 자금 조달을 통해 적극적으로 추진 중입니다. 하지만, 비트코인 가격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자산 가치 대비 리스크는 여전히 크니 투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스트래티지의 총자산 대비 총부채비율은 23~24%정도이며 실제 인베스팅닷컴의 재무제표를 보시면 이정도로 계상됩니다

    즉 그만큼 부채비율은 상당히 낮은 기업이며 미국의 평균기업이 50~60%수준으로 낮은 수준입니다 거기다가 자본대비 부채비율도 24%수준으로 즉 전체 자본에서 부채비율은 24%밖에 빌리지 않는 매우 보수적인 부채비율을 보이는 기업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의 부채비율은 현재 24.3%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총 주주 지분이 335억 달러이고 총 부채가 81억 달러인 상황이죠.

    하지만 단순한 부채비율 수치만으로는 이 회사의 실제 위험도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스트래티지의 독특한 점은 부채 대부분이 비트코인 매입을 위한 전환사채라는 것입니다. 현재 총 부채 68억 달러 중 62억 달러가 2028년부터 2032년 사이에 만기가 도래하는 전환사채로 구성되어 있어요.

    재무 안전성 측면에서 보면 단기적으로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입니다. 레버리지 비율이 19% 수준이고, 부채 만기가 대부분 2028년 이후로 설정되어 있어 즉각적인 상환 압박은 크지 않거든요.

    그러나 중장기적 리스크는 상당합니다. 비트코인 가격이 50% 하락할 경우 부채 커버리지 비율이 15배에서 7.5배로 급락할 수 있고, 특히 비트코인이 4만3천 달러 이하로 떨어지면 부채 재융자나 추가 투자 유치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더욱이 최근에는 연 10% 배당의 영구우선주까지 발행하면서 연간 1억 840만 달러에 달하는 고정 배당 부담까지 안게 되었어요. 결국 비트코인 가격 변동에 회사 운명이 직결된 초고위험 구조라고 봐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