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나혼자산낙지
나혼자산낙지

에이아이가 정말 인간의 고용에 영향을 끼칠까요?

최근 인공지능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단순 노동은 줄고 새로운 일자리가 생긴다고합니다. 실제 한국고용시장에는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AI확산으로 인해 단순 반복 업무와 사무보조 성격의 일자리는 점차 줄어들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반대로 데이터관리, AI 시스템 운영, 창의적 기획과 같은 새로운 직무는 늘어날 수 있습니다. 한국 고용시장에서는 중간수준의 기술직 일자리가 위축될 수 있어 직무 전환 교육과 재훈련이 핵심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올해부터 AI에이전트 서비스가 출범이 되면서 미국은 대규모로 일자리가 감소하고 실업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말은 결국 한국도 영향을 미칠수있다는겁니다.

    즉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IT 인프라, 높은 제조업 비중, 그리고 급속한 고령화라는 독특한 조합을 가지고 있어 AI 도입 속도와 영향이 다른 국가들과 차별화될 것입니다. 특히 제조업 자동화 수준이 이미 세계 1위인 상황에서 AI 기술이 접목되면 변화의 속도가 매우 빠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단순 조립라인 작업자의 70-80%가 협동로봇으로 대체될 수 있다고 보이며 서비스업에서도 콜센터 1차 상담의 50% 이상이 AI 챗봇으로 대체 가 되며 단순 회계·경리 입력 업무의 80% 이상 자동화가 될것으로보입니다. 택배 분류 작업의 대부분이 자동화 시스템으로 전환되면서 빠르게 침투 될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인공지능 기술의 확산은 반복작업이나 비숙련 직무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일부 숙련 기술은 수요가 늘어날 가승성도 있으며, 업종이나 숙련도에 따라 임금격차가 심화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AI는 한국 고용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2025년 기준 약 50% 일자리가 AI 노출로, 단순 노동(판매·행정) 감소하며 청년과여성의 일자리가 위협 받을 것입니다.

    WEF에 따르면 40% 기업이 AI로 인력 줄일 전망이라는 발표를 했습니다. 반면 고학력 전문직(연구·AI 활용) 증가로 새 일자리 창출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 시장의 경우는 AI로 생산성은 올라가겠지만 국민의 불평등은 심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AI가 정말 인간의 고용에 영향을 끼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단순, 반복적인 일, 그리고 이런 단순직을 넘어서

    병원에서 CT나 MRI 한 것을 판독하는 일에도

    AI가 쓰인다고 하니

    정말로 인간 고용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저는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사람이 대체할수 없는 부분이 아나라고 한다면 점차적으로 인공지능 로봇의 수요가 많아지고 이는 인거비나 주휴수당 등의 비용으로 나올수 있는 바 사업자가 큰부담이 발생하애 인공지능 로봇으로 대체하려고 할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도 이제 시급이 비싸져서 요즘 밥먹으러 가보면 주문은 전부 키오스크로 자리에서 하고 서빙도 종종 로봇이 하는 곳도 있습니다 음식도 자동화 되어서 로봇이 만드는 식당도 제법 생겼죠

    그만큼 인공지능 로봇기술의 발달로 일자리가 줄어드는게 현실 같기는 합니다 결국 상당부분 미래사회에는 이러한 단순노동은 로봇이 대체할거라 생각하고 앞으로 사는게 지금보다 더 어려워질 가능성은 크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AI의 발전은 현실적으로 노동 시장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와 고용률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AI가 자동화의 개념으로 이해되면서 일부 직종에서는 AI로 인한 일자리 대체 및 고용 감소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10~20대 초반 청년층과 같이 특정 연령대의 고용률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