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수화물 중독에 대하여(포도당, 인슐린, 도파민)
생명과학(비만) 주제로 ppt 준비중입니다.
저는 비만의 원인을 단순히 먹는양 대비 에너지 소비가 낮아서 라는 쪽으로 준비중입니다.
1.그 몇십개월 이하 영유아? 의 경우에는 일정 포만감을 느끼면 젖병에서 입을 뗀다던가 그만먹게된다고 들얶습니다. 어느정도 성장후엔 그 기능이 손실되어 섭취를 더 할수 있는거구요. 이 기능을 뭐라고 부르나요?
2. 또한 인간의 탄수화물 중독에 대하여 설명하고 싶습니다.
도파민 수용체와 관련지으셔서 설명해주실수있나요.?
( 섭취-혈당상승- 인슐린 도파민) 관련지으셔서요.
수용체에 수용되는 과정까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이 기능은 일반적으로 "자기 조절력" 또는 "자기 규제 능력"이라고 합니다. 아기들은 이 기능을 이용하여 자신의 포만감을 인지하고, 식사를 멈추거나 조절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기능이 발달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리며, 아기가 성장하면서 gradually 손실되기도 합니다.
탄수화물 중독은 탄수화물 섭취로 인해 증가하는 혈당과 인슐린 분비에 따른 신체적 변화와 함께, 도파민 수용체와 관련이 있습니다. 도파민은 뇌에서 쾌감과 보상을 느끼게 해주는 신경전달물질로, 탄수화물을 섭취하면 도파민이 분비되어 쾌감을 느끼게 됩니다. 이러한 쾌감 체험이 반복되면서, 뇌에서는 탄수화물 섭취에 대한 욕구가 더욱 강해져, 탄수화물 중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탄수화물 중독은 비만, 당뇨병 등의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적절한 식습관과 탄수화물 섭취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