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일제강점기 나운규 감독의 아리랑은 어떤 측면에서 독립운동에 도움이 되었다 평가되는 것인가요?
일제 강점기 일본의 식민지 상황에서 영화감독으로 활동하였던 나운규 감독이 있습니다. 나운규 감독은 1926년 영화 아리랑을 발표했다고 하는데요. 어떤 점들이 이 영화가
우리나라 독립운동에 기여했다고 평가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리랑은 일제강점기 내내 전국 방방곡곡에서 상영, 조선인들이 징용으로 끌려와있던 홋카이도의 탄광에서도 상영되어 조선인 노무자들의 심금을 울렸습니다.
6.10만세운동 직후 제작된 아리랑의 근저에는 토지를 매개로 한 계급문제가 있었는데 마치 토지는 농민에게 와 같은 6.10만세운동의 슬로건을 연상시킴으로써 6.10만세운동의 열기를 거리에서 스크린으로 옮겨놓은 듯했으며 고소설이나 일본신파를 번안해 영화로 만들던 당시 당대 사회현실에 대해 비판적 인과 이를 극적으로 묘사한 아리랑의 제작은 그 자체로 의미있는 사건이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26년 무성 영화로 제작된 '아리랑'은 강렬한 민족주의와 자유주의를 영상화하여 한국영화의 진정한 효시로 평가받습니다. 리얼리즘을 기초로 일제에 억눌리던 민족의 울분을 영화로 승화시켰다고 많은 애국 운동에 양향을 미쳤다고 평가를 받는 이 영화는 1993년 8월 뒤늦게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