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는 왜 시간이 지날수록 오를까요?
자장면이나 라면과 같은 음식이 수십년 전에는 지금보다 훨씬 낮은 가격에 판매되었는데요. 물가는 왜 우상향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시간이 지날수록 상승하는 이유는 시간이 지나면서 사람들의 1인 소득 수준이 증가하고,
원자재 가격의 상승, 노동력 비용의 증가 때문 입니다.
또한, 경제적으로 불안정 하거나 국제적으로 물가가 상승하게 되는 외부 요인에 대해서도
영향을 받아 물가가 우상향 하는 장기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제 성장, 임금 상승, 생산비 증가 등 여러 요인으로 자연스럽게 오릅니다. 또한, 화폐 가치가 감소하는 인플레이션 현상도 물가 상승을 초래하는 주요 원인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원자재 가격, 인건비, 물류비 등은 지속 상승합니다. 생산 비용이 증가하면 기업은 제품 가격을 인상합니다.
근로자도 매년 인건비가 상승하고 최저임금도 정부에서 지속 상승시키고 있죠.
이런 부분이 재화나 서비스에 매년 혹은 매달 반영되어 상승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우상향하는 이유는 국가별로 돈을 회수하는 양보다 돈을 계속 찍어내는 양이 훨씬 많기 때문입니다. 화폐가 증가할수록 화폐의 가치는 떨어지기 때문에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이치이죠.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시장경제가 성장하게 되면 물가는 오르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은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이루면서 국민소득이 증가하였고 증가한 국민 소득만큼 물가가 오르는 자연스러운 성장 흐름을 보였을 뿐입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오르는 이유는 지속적으로 화폐를 만들어 내고 있기 때문입니다.
화폐를 만들고 인플레이션이 일어나지 않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실물경제도 올라가야 하는데 실물경제는 오르지 않은상태에서 화폐의 양이 많아 지기 때문에 화폐의 상대적인 가치가 떨어지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 성장, 소득 증가, 인구 증가 등으로 인해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 가격이 상승합니다. 원자재 가격 상승, 생산비 증가,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상품이나 서비스 공급이 감소하면 가격이 상승합니다. 또한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늘리면 화폐 가치가 하락하여 물가가 상승합니다. 이는 동일한 양의 화폐로 구매할 수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석유, 광물 등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 생산비가 증가하여 상품 가격이 상승합니다. 또한 노동 시장에서 임금이 상승하면 생산비가 증가하여 상품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오르는건 어찌보면 당연한거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인건비가 계속 오르고 원재료 가격이 상승하고 기름 한방울 안나는 우리나라에서 수입하는 석유를 비롯한 수입물가도 계속 오르니 물가가 시간이 지날수록 오르는건 당연한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물가가 시간이 지나면서 오르게 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물가가 오르는 것은 결국 현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계속해서 현금의 가치가 떨어지고 있다고 봐야 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통화량이 늘어나고 모든 물건이 그렇듯이 그 양이 늘어날수록 통화의 가치도 하락하게 됩니다. 따라서 같은 돈으로 살수있는 재화의 양도 하락하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됩니다. 경제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적정수준의 인플레이션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오히려 물가가 하락하는 디플레이션은 경기침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예외적인 현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