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시대에 현금을 보유하는 건 얼마나 위험할까요?
물가 상승률이 높은 시기에 현금을 모두 인출해서 금고 안에 그냥 넣어두면 손해라는 말이 있는데
많은 분들이 금으로 바꾸거나 예금으로 넣어두라고 하더군요.
정말 그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상승율이 높은 인플레이션 시대에서는 화폐가치가 급락합니다. 그냥 가만히 있어도 화폐 가치는 뚝뚝 떨어집니다.
물가상승율이 매년 4.5%라고 하면 4.5% 이상 수익을 내지 못한다면 그냥 마이너스 수익입니다. 그만큼 수익을 내는 재테크를 통해 화폐 가치 방어를 해야 하는 겁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현지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물가 상승률이 높을 때 현금을 금고에 넣어두면 손해라는 말은 일리가 있으며, 현금을 금으로 바꾸거나 예금/적금으로 넣어두는 것이 더 나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물가 상승과 현금 가치 하락의 관계
물가 상승률이 높다는 것은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현금 가치 하락: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화폐의 구매력이 떨어집니다. 예를 들어, 작년에 100만 원으로 살 수 있었던 물건을 올해는 100만 원보다 더 많은 돈을 주고 사야 하는 상황이 됩니다.따라서 현금(돈)을 금고에 그냥 넣어두면 그 현금의 명목 가치는 그대로지만, 실질적인 가치(구매력)는 물가 상승률만큼 하락하게 되어 실질적인 손해를 보게 됩니다.
금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표적인 헤지 수단 중 하나로 널리 이용됩니다.금은 화폐와 달리 생산량이 한정되어 있고,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실물 자산입니다.물가가 오르면 화폐 가치는 떨어지지만, 금과 같은 실물 자산은 물가 상승에 비례하여 가격이 함께 오르는 경향이 있어 가치 하락을 방어하는 데 유리합니다.
예금이나 적금은 현금을 보관하는 것보다는 낫습니다.은행에 넣어두면 이자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자율이 물가 상승률보다는 낮더라도 최소한 금고에 넣어두는 것보다는 현금 가치 하락을 일부 상쇄할 수 있습니다.다만, 물가 상승률보다 더 높은 이자율을 제공하는 상품을 선택해야만 실질적인 가치 하락을 완전히 방어하고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금 투자는 부가가치세 및 매매 수수료, 그리고 국제 정세에 따른 가격 변동성 등 고려할 사항이 있으므로 신중한 결정이 필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 시대에 현금을 보유하는 것은 실제 가치가 줄어들기 때문에 꽤 위험하다고 볼 수 있는데요. 물가가 계속 오르면 같은 금액의 현금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이나 서비스의 양이 점차 줄어들어 돈의 구매력이 떨어지게 되기에 아무리 높은 예금 금리를 받더라도 물가 상승률보다 낮다면 실질적으로는 손해를 볼 수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