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인플레이션 시대에 현금을 보유하는 건 얼마나 위험할까요?

물가 상승률이 높은 시기에 현금을 모두 인출해서 금고 안에 그냥 넣어두면 손해라는 말이 있는데

많은 분들이 금으로 바꾸거나 예금으로 넣어두라고 하더군요.

정말 그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상승율이 높은 인플레이션 시대에서는 화폐가치가 급락합니다. 그냥 가만히 있어도 화폐 가치는 뚝뚝 떨어집니다.

    물가상승율이 매년 4.5%라고 하면 4.5% 이상 수익을 내지 못한다면 그냥 마이너스 수익입니다. 그만큼 수익을 내는 재테크를 통해 화폐 가치 방어를 해야 하는 겁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현지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물가 상승률이 높을 때 현금을 금고에 넣어두면 손해라는 말은 일리가 있으며, 현금을 금으로 바꾸거나 예금/적금으로 넣어두는 것이 더 나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물가 상승과 현금 가치 하락의 관계

    물가 상승률이 높다는 것은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현금 가치 하락: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화폐의 구매력이 떨어집니다. 예를 들어, 작년에 100만 원으로 살 수 있었던 물건을 올해는 100만 원보다 더 많은 돈을 주고 사야 하는 상황이 됩니다.따라서 현금(돈)을 금고에 그냥 넣어두면 그 현금의 명목 가치는 그대로지만, 실질적인 가치(구매력)는 물가 상승률만큼 하락하게 되어 실질적인 손해를 보게 됩니다.

    금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표적인 헤지 수단 중 하나로 널리 이용됩니다.금은 화폐와 달리 생산량이 한정되어 있고,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실물 자산입니다.물가가 오르면 화폐 가치는 떨어지지만, 금과 같은 실물 자산은 물가 상승에 비례하여 가격이 함께 오르는 경향이 있어 가치 하락을 방어하는 데 유리합니다.

    예금이나 적금은 현금을 보관하는 것보다는 낫습니다.은행에 넣어두면 이자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자율이 물가 상승률보다는 낮더라도 최소한 금고에 넣어두는 것보다는 현금 가치 하락을 일부 상쇄할 수 있습니다.다만, 물가 상승률보다 더 높은 이자율을 제공하는 상품을 선택해야만 실질적인 가치 하락을 완전히 방어하고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금 투자는 부가가치세 및 매매 수수료, 그리고 국제 정세에 따른 가격 변동성 등 고려할 사항이 있으므로 신중한 결정이 필요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 시대에 현금을 보유하는 것은 실제 가치가 줄어들기 때문에 꽤 위험하다고 볼 수 있는데요. 물가가 계속 오르면 같은 금액의 현금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이나 서비스의 양이 점차 줄어들어 돈의 구매력이 떨어지게 되기에 아무리 높은 예금 금리를 받더라도 물가 상승률보다 낮다면 실질적으로는 손해를 볼 수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