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깨끗한상사조191
깨끗한상사조191

세전 급여270 1년6개월에 대한 퇴직금은 얼마인가요

식당 근무중에 인원감축으로

권고 사직했는데 1년6개월 근무 퇴직금과

16일치 급여가 420만원이

입금됐는데 맞는금액 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

      실제 퇴직일을 몰라 대략적으로 계산하여 드리면

      270만원 * 1.5 = 405만원 정도로 보입니다.

      답변 도움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위 내용만으로 정확한 퇴직금 금액을 계산하기는 어렵습니다만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해 30일분 평균임금이므로 1년 6개월 일했으면 대략 월급의 1.5배 정도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

      퇴직금은 아래의 계산식으로 계산합니다.

      퇴직금 = 1일 평균임금 × 30(일) × (재직일수/365)

      1일 평균임금 = 퇴직일 이전 3개월간에 지급받은 임금 총액 (A+B+C)/퇴직일 이전 3개월간의 총 일수

      (810만원/91일)*30*(547/365)=약400만원 세전금액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갑열 노무사입니다.

      자세한 사항이 확인되지 않아 답변이 어렵지만,

      월급 270만원 세전 기준 1년 6개월 퇴직금은 대략 400만원정도 입니다.

      그러므로, 16일치 급여와 함께 지급된 금액이 420만원이라면 지급받아야 할 금액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적어주신대로 계산하면 예상퇴직금은 예상퇴직금 (세전기준)3,987,160원이 됩니다. 그리고 16일치 급여는 2,700,000 x 16 / 31로

      계산하여 1,393,548원이 됩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적게 받으신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알 수 없어 명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즉, 퇴직금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입사/퇴사일을 알아야 하며, 질문자님의 1주간 소정근로시간 및 임금 구성항목 등을 알아야 합니다. 퇴직금은 "평균임금*30일*재직일수/365일"로 산정하되, 평균임금이 통상임금보다 적을 때는 통상임금을 평균임금으로 하여 퇴직금을 산정해야 합니다. 평균임금이란, 이를 산정해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 동안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퇴직금과 임금을 합산하여 5,410,869원 정도로 추정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퇴직금은 1일평균임금*(재직일수X30일/365일)로 산정합니다. 평균임금은 3개월 간 임금총액을 3개월 일수로 나누어 계산하며, 임금총액에는 해당 기간중의 급여 및 1개월을 초과하는 기간에 대하여 지급하는 임금의 3개월분이 산입됩니다.

      퇴사월 급여의 경우, 1)일수에 비례하여 일할계산하거나, 2)근무시간에 비례하여 일할계산하거나, 3)월 총 유급일수 중 유급일에 비례하여 일할계산하는 것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