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자국 자외선 받았는데 흉터
얼굴쪽흉터인데 오늘 늦잠을 자면서 커텐블라인드 사이에 햇빛이 들어오며 한두시간 노출된거같더라규요
혹시이게 흉터 색소 침착에 크게영향을 미칠까요?..
일상생활에선 창모자로 다차단하고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화상자국의 햇빛 노출에 대해 질문하셨습니다.
한두시간의 노출로 흉터가 더 심해지지는 않습니다.
평소처럼 자외선에 대한 차단을 잘 하시기를 권장합니다.
참조하시어 위 답변이 화상흉터의 관리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도움이 되는 답변들에는 질문하신 분을 포함한 열람하시는 분들의 좋아요, 추천 버튼 선택을 권장하며
부족한 답변에는 댓글을 통한 추가적인 소통으로 궁금증을 해소하시길 권해드립니다.
이런 활동들을 통해 아하(Aha) 지식 공유 커뮤니티의 유지와 선순환에 도움이 되어 더욱 유익한 커뮤니티로 발전이 가능해집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자외선 노출은 흉터 색소침착의 가장큰 원인입니다.
가급적이면 앞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잘 차단하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피부과 전문의 노동영 의사입니다.
착색 때문에 걱정이 크시군요.
햇빛에 한두시간 노출되었다고 반드시 착색이 생긴다고는 볼 수 없으나 자외선이 착색을 유발하는 인자가 맞긴 합니다.
상처 후 회복된 자리에 착색이 되는 것을 염증 후 색소침착 (Post inflammatory hyperpigmentation) 이라고 합니다. 단순한 상처뿐만이 아니라 각종 피부염이 호전되고 나서 색소가 침착되는 경우를 모두 통틀어서 일컫는 용어입니다.
염증반응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과정에서 세포들이 죽고, 표피의 멜라닌 세포들도 함께 죽으면서 진피에 축적이 되면서 겉으로 봤을 때는 검게 착색이 되는 것이죠. 정상적인 과정이며 시간이 지나면 진피의 멜라닌탐식세포가 색소를 먹어 없어면서 점차 호전되게 됩니다.
흉터와 염증 후 색소침착은 다른 개념입니다. 흉터는 피부의 회복과정에서 섬유화가 일어나 피부표면이 딱딱해지고 울퉁불퉁해져 영구적으로 남을 후 있지만, 염증후 색소침착은 수개월에 걸쳐 점차 호전됩니다.
색소침착이 최대한 안 생기게 하려면 상처부위에 햇빛노출을 최소화하며 폐쇄드레싱으로 잘 관리하면 어느정도 예방이 가능합니다.
답변이 되셨나요? 착색은 시간이 해결해주는 부분이 커서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문자님의 적극적인 답변 추천, 좋아요 그리고 채택은 저희 답변자들에게도 긍정적인 피드백이 됩니다. 도움이 되신 답변에는 긍정적인 반응을 많이 해주셔서 앞으로 더 좋은 답변이 순환되게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현재 정확한 의미를 이해하기는 어려우나 상처 회복이나 일반 피부도 자외선에 노출되면 색소 침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