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방법이 더 좋을지 의견 부탁드립니다 !
지금 혼자 6살 아들을 키우고있고 월세에 살고있어요
월세는 한달 60만원이고
올해 10월에 계약이 끝나요
근데 아이가 6살이되고 점점 나가는돈이 많아지면서 월세로 나가는 돈이 부담되더라구요
그래서 지금 한부모 전세대출을 받아
전세로 갈 생각을 하는중인데
월세집 계약이 끝나고 이사를 갈지
계약끝나기전에 이사를 갈지
고민중인데
먼저 계약기간과 상관없이 보수할부분이 있으면
제가 하면 된다고 하셨고
계약전에 나가게된다면 관례상 제가 복비를 부담 하면된다고 하셨어요
혹시 복비는 중개비를 말씀하시는걸까요?
이렇게된다면 계약전에 나갈시 제가 더 지불할 비용이 얼마나될까요..?
계약전에 나간다면 조금더 나갈돈이 생기겠죠
하지만 8개월동안 60만원을 더 내고 사느니
복비를 부담하고 빨리 이사를할지
아니면 계약기간 끝나고 나가면 복비 부담하지 않아도되니 8개월만 더 살다가 이사를갈지
고민입니다 ..
어떤방법이 좋을까요?
중도퇴실시는 다음 세입자를 구하고 임대인이 다음세입자와 계약시에 내야 하는 복비(부동산 중개수수료)를 기존 임차인이 대신 내는게 관례입니다.
어느쪽이 더 이득이 되는지 부분은 다음에 어떤 집으로 갈지와 본인의 소득이 차후에 어느정도로 예상되는지등에 따라 다를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월세 계약 만료되면 한부모 전세대출 받아 이사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월세 계약 만료 전에 이사가려면 임대인과 협의가 필요한 상황인데 중개수수료 뿐만아니라 남은 기간의 월세와 세입자를 구해놓는 조건으로 협의를 요청하시는 임대인이 많습니다.
월세가 부담스럽지만 중개수수료(부동산 복비)도 무시할 수 없는 금액이니 월세 계약 만료 후 이사를 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LH,SH에서 공급하는 임대주택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미리 찾아보다 좋은집이 나오면 이사를 하셔도 되고 만기까지 사셔도 됩니다
부동산 수수료는 월세라 그리 많지는 않을거 같은데 만기전에 집이 안나가면 월세를 부담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부분을 잘고려해서 좋은 쪽으로 추진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즉시 계약을 해제해주시고 복비,즉 중개수수료만 지급하면된다면 즉시 집알아보시고 이사가는게 맞습니다. 보증금은 알수없으나 중개수수료는 약30만원정도 내외로 나올것 같습니다.
대출이자와 비교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