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멋진크낙새45
멋진크낙새4523.04.19

알을 낳는 포유류가 있던데요. 그럼 포유류를 구분하는 특징이 궁금하군요. 알려주세요.

이제까지 포유류 구분법 중에 새끼를 낳는지로 구분해왔었는데요. 알을 낳는 포유류가 있더라구요. 그럼 포유류를 구분하는 특징이 궁금하군요.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모든 포유류는 새끼에게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우유를 생산합니다. 젖은 암컷의 유방에 있는 특수 분비샘인 유선에서 생산됩니다.

    포유류는 털이나 털로 몸을 덮고 있습니다. 이 털은 동물을 단열하고 체온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포유류는 온혈동물로, 내부적으로 체온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포유류는 살아있는 새끼를 출산하며, 이 새끼는 어미의 몸 안에서 성장합니다.

    물론 대부분이며, 알을 낳는 포유류도 일부 있습니다.

    하지만 극히 일부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포유류는 동물계, 척추동물문, 척추동물아문에 속하는 생물집단입니다.

    사실 포유류는 새끼를 낳느냐 알을 낳느냐로 구분되는 것은 아닙니다. 한자로는 哺乳類로 쓰며 그 이름 그대로 '젖먹이 동물'을 뜻합니다.

    즉, 포유류의 가장 큰 특징은 암컷에게 새끼에게 양분을 공급할 젖을 만들어내는 유선이 있다는 것입니다.

    대부분 몸에 털이 나 있지만 털이 변형된 비늘이나 가시가 있는 것들도 있으며 뇌에서 체온과 혈액 순환을 조절하는 온혈동물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포유류는 말 그대로 젖을줄 수 있는 동물을 말합니다. 즉, 젖샘이 있고 새끼가 젖을 먹을 수 있는 조직이 존재하면 포유류로 분류됩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포유류는 알이 아닌 새끼를 낳는 동물로서 어미 배 속에 존재하는 자궁을 통해 새끼를 보호합니다.


    또한 포유류는 폐로 숨을 쉬는 동물이며 털이나 두꺼운 피부로 체온을 유지하는 항온 동물입니다.



    양서류는 어릴 때는 물에 살면서 아가미로 호흡하고 자라서 폐와 피부로 호흡을 하며 육상에서 사는 동물입니다.


    양서류는 다리가 네 개이며 알에 양막이 없고 알을 낳는 변온동물입니다.



    파충류는 폐호흡을 하며 심장은 2심방 불안전 2심실입니다.


    파충류는 온 몸이 비늘로 덮여있고 알을 낳는 변온동물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포유류의 가장 큰 특징은 젖샘이 있어서, 수유를 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다른 소수의 동물에게서도 젖샘과 유사한 것은 있기는 합니다. 또 알을 낳는 단공류를 제외한 모든 포유류는 태생입니다. 이것을 기준으로 다시 나누어 태반이 없는 유대류와, 태반이 있는 유태반류로 다시 나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포유류의 가장큰 특징은 새끼가 어미의 젖을 먹고 자라는 겁니다 알을 낳아도 어미의 젖을 먹고 자라면 포유류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알고있는 모든 포유류는 태생이라는 상식을 깨는 동물이 있으니 그를 '단공류(單孔類)'라고 합니다. 단공류에는 오리너구리, 바늘두더지가 있는데 뉴기니,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서식합니다. (대륙과 떨어진 오세아니아에는 특이한 동물이 많이 살고 있습니다.) 특히 오리너구리는 오리와 수달의 중간적인 모습에 알까지 낳아서 초기에는 이것이 포유류인지 조류인지에 대한 논란이 많았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알을 낳는 포유류중에는 오리너구리, 바늘두더지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동물들이 알을 낳음에도 불구하고 포유류에 범위에 속하는 이유로는 알에서 태어난 새끼에게 3-4개월 동안 젖을 먹여 키우기 때문입니다.

    → 포유류의 구분기준 : 젖을 먹여 새끼를 키우는 동물

    → 따라서 알을 낳지만, 젖을 물리는 동물이므로 포유류에 속함


    도움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