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기계공학

보람찬라마246
보람찬라마246

차량용 자동차 타이어 기술 표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타이어에

제한하중, 속도지수, 제동력, 마일리지 등 타이어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표기하는 것들이 있음을 아는데요.

접착력(접지력) 에 관련한 스펙은 객관적 지표가 없을까요? 제동력 스펙이 접착력이라고 볼 수 있는 걸까요?

속도지수는 접착력과는 관계없는 테스트 인 것 같더라구요.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제동력과 접착력은 얼핏 비슷하지만 다른 개념이라고 보셔도됩니다.

    제동력은 차량의 속도를 감속하거나 정지하는 힘을 의미하며

    접착력은 타이어와 노면의 마찰력을 의미합니다.

    접지력에 대한 객관적 지표에는 마찰계수(정적,동적),그립레벨,접지력지수 등이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타이어 기술 표준에 대해 궁금하신듯 하여 질문에 답변 드리겠습니다. 타이어 성능을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들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가지고 계십니다.

    타이어의 접지력(Grip)은 타이어가 노면을 잡아주는 능력을 의미하며, 이는 주행 안전성과 성능에 매우 중요합니다. 접지력에 대한 객관적인 지표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제동력 스펙 : 제동력은 접지력을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특히 젖은 노면 제동력은 타이어의 젖은 노면 접지 성능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며, 유럽 등 일부 지역에서는 타이어 라벨에 A부터 G까지의 등급으로 표기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제동 거리가 짧을수록 제동력이 우수하며, 이는 곧 노면에 대한 접지력이 좋다는 의미입니다.

    2. 접지면적 : 타이어와 노면이 실제로 닿는 면적을 의미합니다. 접지면적이 넓을수록 그립력이 좋아져 주행 및 코너링 안정성이 향상됩니다. 이는 직접적인 수치로 표기되기보다는 타이어 설계시 고려되는 요소입니다.

    속도지수는 타이어가 안전하게 주행할수있는 최고 속도를 의미하며 주로 타이어의 구조적 강도 및 고속 주행시 발생하는 열에 대한 저항력을 나타냅니다. 속도지수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접지력이 비례하여 더 좋다고 할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고성능 타이어는 속도지수도 높고 접지력도 우수하게 설계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