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인빈시블진짜임모탈
인빈시블진짜임모탈

공실 건물들이 코로나 때부터 심각하게 없다는데요.?

안녕하세요. 공실 건물들이 코로나때보다 매우 심각하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회사들의 성장률은 점점 감소하고 국민들은 미취업자 및 가게부채율은 점점 늘어났다고 하는데요. 곧 있을 미래에 안정화가 될 수가 있을까요? 자녀도 안낳고 북한과의 위험 고조도 되는 상황인데요.. 출산률은 3분의1로 뚝 떨어질 것이라고 하는데 예상되는 결과를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현재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내수시장이 침체되는 등 이에 따라서

    공실건물 등도 많고 이것이 계속 경제가

    좋지 않은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보수 정권이 들어오면은 친 재벌 부유층 편에 섭니다 공공기관 의료 이와 같은 것들을 민영화 하려고 하지요 그렇게 되면은 부자들만 남게 됩니다

    결혼하고 아이를 낳는 것도 중산층 이상 사람들만 존재하고 하위층들은 대가 끊기게 됩니다

    미국처럼 불법 이민자들이나 외노자들이 그 자리를 메꿀 것입니다 일본도 몇 년 전부터 다시 출산을 생각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모이면 흩어지고 흩어지면 모이는 것처럼 잘 순환될 수도 있다는 기대는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공실 건물 증가와 경제 성장 둔화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고용 불안정, 가계 부채 증가, 저출산 등 복합적인 문제가 맞물려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북한의 위협까지 더해져 경제 불확실성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경제 안정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개입과 사회 전반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공실 증가와 경제 성장 둔화, 인구 감소는 장기적으로 부동산 시장 침체와 생산 가능 인구 축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이를 방치하면 경제 활력 저하와 사회적 불균형이 심화될 수 있어, 구조적 개혁과 인구 정책의 신속한 대응이 요구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공실 건물이 크게 늘어난 것은 상업용 부동산인 오피스들을 중심으로 큰 공실이 나면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 일단 분양을 받은 사람들이 부채 부담을 떠안아야 하는 상황이고 공실 건물들이 늘어나면서 부동산 업체와

      함께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 출산율도 떨어지면서 인구가 줄어드는데 부동산은 늘고 있고 수도권 집중 현상이 가속화 되고 있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수도권 아파트 가격은 더 오를 가능성이 있고 지방은 하락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코로나 시절 재택근무가 많고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서 우리나라도 공실이 엄청나게 늘어났습니다

    공실이 줄어들라면 일단 건물주들이 임대료를 낮쳐야 빈 공실들이 나갈텐데요 임대료를 낮추면 추후에 건물을 매각할때 제가격을 못받을수도 있다는 생각들이 건물주들이 많이 하니 공실들이 줄어들지를 않는거 같습니다

    앞으로도 우리나라 공실은 넘쳐날거라 저는 생각합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국가 경제가 하나둘 무너지고 있다는 신호로 생각합니다.

    내수경제는 물론 수출경제까지 심한 타격을 받고 있는 상황인데, 정부에서는 별다른 대응을 안해서 국민들만 지속 피해를 본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빈부격차는 심화되고, 서민들은 지금보다 더 삶이 어려워져 국가 경제 시스템이 마비되거나 붕괴될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말씀 주신것이 코리아디스카운트원인이며

    가장 중요한 것은 인구소멸입니다.

    인구를 대체할정도의 기술력이 당연히 발전하지 못하였고 이런가운데 결국 부양해야할 노인분들은 많아지며 그 부담은 결국 젊은 세대로 오게되어 지금보다 더 힘든 상황이 펼쳐질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더더욱 빈부격차는 커지며 일부도시를 제외한 나머지 도시의 부동산은 크게 내려갈 수 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저출산과 경제불황으로 인한 전망에 대한 내용입니다.

    언급해주신 두가지 현상으로 인해서 우리나라의 앞날은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예상됩니다.

  • 코로나 때부터 자영업자들 상황이 안 좋았습니다. 그런데 그때 나라에서 돈을 엄청나게 뿌려대면서 억지로 경기를 살렸습니다. 그런데 코로나 이후에 정부 지원은 줄어들고 경기가 안 좋습니다. 물가가 너무 올라서 금리를 높게 올렸더니 소비도 위축되고 대출 비용도 높아져서 더욱 힘들어졌습니다 장기적으로는 경기가 살아날 수도 있어서 정확하게 모르겠습니다만 단기적으로 향후 몇년간은 힘들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로써 경제 성장 둔화 및 고령화/인구 감소는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다만 미래에 있어서 지금까지 그래왔듯 신규 산업 혁명이나 새로운 산업 먹거리가 생겨날수 있습니다. 재정 정책, 국내외 정세 협상 등을 통해서 전세계 국가들이 안정화를 지속 추구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