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부채가 200%를 넘는다는 말이 사실인가요?
우리나라 국가 부채가 심각하다고 이야기를 하는데 알고 보니 이제 60% 가까이 가던데요.
미국은 부채가 200%가 넘던데 이말이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부채는 상당합니다.
미국은 기축통화국이기에
이에 따른 엄청난 부채가 유지가 가능한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부채가 200%를 넘는다는 말은 사실이 아닙니다. 현재 미국의 GDP대비 국가 부채 비율은 2024년 기준으로 약 120% 대 초반입니다.
2020년에 사상 최고치인 126.3%를 기록한적도 있습니다. 200%라는 수치는 과장된 것으로 보입니다.
국가부채를 이야기할때 보통은 GDP대비 일반정부 부채를 기준으로 합니다. 하지만 더 넓은 개념은 공공부문 부채나 정부, 가계, 기업을 모두 합친 국가 총 부채 개념을 사용하면 그 비율은 훨씬 높아질 수 있습니다. 미국 경제에 대한 우려를 표할 때, 가계 부채나 기업 부채까지 합산하여 언급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실제 국가 부채 비율보다 더 높게 체감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은 부채비율이 2024년 기준 GDP 대비 124.3%를 기록했습니다. 2020년이 사상최고치인 126.3%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국가 부채가 GDP 대비 200%를 넘는다는 말은 사실이 아니에요.
2025년 기준으로 미국의 국가 부채는 GDP 대비 약 120~130% 수준이에요.
일본이 200%를 넘는 대표적인 나라이고, 미국은 그보다는 낮지만 여전히 높은 편이에요.
반면 한국은 2025년 기준 약 GDP 대비 60%에 근접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건전한 편이에요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국가 부채가 GDP의 200%를 넘는다는 말은 사실이 아닙니다. 2025년 기준 미국의 국가 부채는 약 36조 달러로, 이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약 122~124% 수준입니다. 이는 역사적으로도 매우 높은 편이지만, 200%를 넘어선 적은 없습니다. 참고로, 일본처럼 GDP 대비 부채 비율이 200%를 훌쩍 넘는 나라와 혼동된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대한민국)의 국가 부채도 최근 60%에 근접해 우려의 목소리가 있지만, 미국과 비교하면 절대적인 비율 차이가 있습니다. 미국의 부채 비율이 심각하게 높은 것은 맞지만, 당장 200%를 넘어서는 상황은 아니라는 점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사실입니다
미국의 국가 부채는 이미 돈을 벌어서 갚을 수 있는 수준이 아닙니다
그럼에도 달러의 가치가 유지되는 이유는 기축통화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앞으로 미국의 경제가 부담을 지속적으로 갖고갈 예정이기에
스테이블 코인과 같은 다른 시도를 통해서 부채를 경감하려 시도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제 생각에는 과장된 통계적인 표현 같습니다.
2025년 중반 기준으로 미국의 국가 부채는 공식적인 연방 정부 부채기준으로 약 GDP의 120~130% 수준 입니다. 만역에 200%라는 수치는 전체 국가부채 즉 연방정부, 주정부, 지방정부, 비공식 부채등을 모두 합산하여 GDP 대비로 계산 하면 나올 수는 있는 수치이기는 합니다만 공식적인 통계는 아닙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부채가 200% 넘는 건 정부부채 + 민간부채 + 기업부채를 다 합친 수치입니다.
이를 GDP대비 총 부채 비율이라고 합니다.
국가부채는 약 120~130% 수준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36조 달러 이상이며 이는 5경이 넘는 부채입니다. 미국 전체 경제 규모의 120%이상이고, 세수 기준은 200%를 훨씬 상회합니다.
미국의 경우, 부채가 200%에 달한다는 말이 있는데 미국의 중앙정부 기준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은 2024년 기준 약 120~130% 수준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미국은 달러를 발행하는 기축통화국으로, 높은 부채 수준에도 불구하고 국제 시장의 신뢰가 유지되고 있어 금리나 환율에 대한 압박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학자들이 말하는 것은 부태가 GDP의 200%를 초과하면 지속 불가능한 수준이라고 말합니다.
현재 고령화나 복지 비용 증가등 미국의 부채 증가가 지속되고 있으며 현재 200%를 넘지않은것으로 보입니다.
아직은 초과하지 않았으며 130%수준으로 파악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 부채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미국의 국가 부채 문제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닙니다.
매우 높은 수준이며
옆나라 일본은 더 높아서 GDP 대비 234.9퍼센트의 부체를 갖고 있으니
한국 정부의 60퍼센트는 준수한 수준인 것은 분명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정부부채는 심각하지 않습니다 매우 건전성이 높습니다 주요국 선진국들은 100%가 넘지만 한국은 정부부채비율이 60%대로 굉장히 낮은 수준이며 200%가 넘는국가는 일본이며 미국도 정부부채비율은 120%대입니다.
다만 가계부채비율이 GDP대비 2배가 넘어갈정도로 매우 심각하며 간혹 이 가계부채와 정부부채를 오인해서 말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그렇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국가 부채가 2025년 현재 GDP의 약 120~124% 수준으로 아직 200%를 넘지 않았습니다. 다만 지속적인 적자와 현재 정책이 유지될 경우 향후 수년 내 200%를 넘을 수 있다는 전망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