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그 보증보험 갱신하려는데, 공시가격 때문에 갱신이 안된다고 통보받았습니다. 다른 곳에서 보증보험을 가입할 수 있을까요?
2년 전 은행에서 아파트 전세계약하고 보증보험을 가입해서, 이번에 갱신하려고 은행에 갔는데
공시가격이 많이 떨어졌구
'공시가격X140%'의 90% 금액보다 제가 계약한 전세금액이 더 크기 때문에 가입이 안되다네요;;
2년 전에 물이없이 가입했던 터라 많이 당황스러운대요..
은행원님말로는 KB시세도 없다고 합니다.
(KB시세는 저희집 동호수까지 똑같아야하나요?)
그럼 서울보증보험이나 다른곳에서도 보증보험상품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혹시 이런 조건이라면 다른데서도 가입이 어렵나요?
방법이 없을가요?
안녕하세요. 이강애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 전세보증금대출 시세는 Kb 부동산 시세를 기준으로 판단을 합니다.
공시지가 하락과 기존 140%에서 126으로 보증한도가 하락해서 기존 대출자들 연장이 불가능하게 되었습니다.
타보증기관도 판단기준은 동일하다고 볼 수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 hf전세보증보험, 허그보증보험, sgi서울보증보험이 있는데 허그에서 조건이 안될 경우 다른 두곳에 가입요건에 해당하는지를 알아보셔야 합니다. 다만 hf,허그의 경우 sgi보다는 조건이 까다롭기 때문에 sgi을 알아보셔야 할듯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험 가입 조건의 다른 곳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KB시세가 없는 주택은 공시가격 126%가 넘어서면 가입이 어렵다고 보시면 됩니다.
보증금을 126%까지 낮추고 차액은 월세등으로 바꾸는 것이 방법이라면 방법인데 주인이 동의를 안해주면 방법은 없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다른보증보험도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하기때문에 비슷할겁니다
공시가격이 내려도 문제고 왜이리 헛점투성이인지
문제인거 같습니다
방법은 전세가를 내려야 하는데 임대인들이 전세가를 내릴 리도 없고 어찌해야 하나요
현장에서 일하는 저희들도 답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