깁스중인데 티눈 관리 어떻게 하나오?
발바닥 쪽인데 뒷꿈치랑 근접한 곳에 티눈이 두개정도 났는데 통
깁스를 오늘 했습니다 병원에선 티눈부위만 톱으로 따주셧습니다 이걸 붕대로 감싸서 퇴원했는데 꼭붕대로 감싸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티눈 부위는 압력과 말을 줄이는 것이 핵심이라 붕대로 감싸는 것은 도움이 됩니다. 단 너무 조이거나 습하게 감싸면 염증 유발할 수 있으니 통기성 있게 느슨하게 감아주세요! 티눈 패치나 연고 사용은 깁스 해제 후 전문의와 상의 후 진행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깁스를 한 상태에서 티눈이 생겼거나 이미 있었던 경우라면 관리가 어렵고 조심할 필요가 있으며 깁스 상태에서는 피부 손상 위험이 높아 상처가 생기면 감염이나 치유 지연이 이루어질 수 있기에 더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깁스 안쪽에 티눈이 있다면 손으로 파내거나 깎지 마시고 드레싱 패드나 실리콘 패드로 깁스 안쪽과 티눈 사이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약국에서 파는 티눈 보호패드 또는 원형 쿠션패드를 티눈 위에 붙이고 깁스를 착용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해당부분에 지속적으로 자극이들어간다면 통증이나 불편감이생길수있으니 붕대를이용해 관리하는것이 좋습니다~
좀더 자세한건 병원에서 전문의와 상담을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혹시 티눈 제거도 같이 한걸까요? 아니면 티눈 부위만 구멍을 내서 붕대로 감싼 상태일까요?
현재로썬 어떤 상황이든 붕대를 감싸준 상태라면 전문의에 제거 소견이 있지않는한 붕대를 계속 감고있는것이 좋습니다.
또한 통깁스를 한것은 현재 회복중이며 전체적인 보호가 필요한 상태이므로 최대한 움직이지마시고 휴식을 취하면서 회복에 전념을 해주시길 바랍니다.
정기적으로 병원에 내원하셔서 깁스 한 부위의 상태를 체크하고 티눈 같은 경우도 제거를 하셨다면 티눈 제거 부위에 진찰, 제거를 안하셨다면 티눈이 더 커지진않았는지 확인을 해주시길 바랍니다.
티눈 관리는 최대한 티눈 부위에 자극을 주는것은 좋지않고 티눈 부위만 깁스를 잘라준것은 아마 깁스를 하게되면 조이고 압박이 갈 수 있기에 제거해주신것 같습니다.
그만큼 전체적인 부위에 보호를 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기에 당분간은 꾸준히 관리를 해주시길 바랍니다.
건강히 회복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티눈 부위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톱으로 오픈 해주신 것 같은데요, 크게 불편감이 없다면 붕대로 감싸지 않고 일상생활을 유지하셔도 되겠지만 정확한 소견은 담당 주치의에게 들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