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경민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포장을 뜯지 않은 것은 포장에 적혀있는 유효기간까지는 사용할 수 있고 유효기간이 지난 경우는 버리는 것이 맞습니다. 유효기간이 지난 약은 약의 효과가 감소했을 수 있고 약의 성분이 어떻게 변질 되었을지 장담할 수가 없습니다.
2.연고제품은 개봉을 했을 때 유효기한이 지나지 않았더라도 개봉한지 6개월 정도후에는 버리셔야 합니다.
3.알약의 경우 개봉을 했을떄 유휴기한이 지나지 않더라도 개봉한지 6개월 정도후에는 버리셔야 합니다.
4.안약의 경우는 개봉을 한경우 개봉을 한후 1개월 내로 버리셔야 합니다.
이 답변은 신고를 받아 관리자 검토 결과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현보민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약은 약의 유효성분이 분해되어 약효도 줄어들었을수 있고 변질이나 오염이 되었을수 있어서 사용안하고 폐기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상비용약이지만 지나치게 필요없는 약을 저장해 두면 유효기간지나기 일수라 자주 먹는 감기약이나 해열제 진통제 소화제 외용제들만 상비하시고 다른 약들은 아플때 그때 그때 사시는게 덜 낭비돼요. 요즘은 주말당번약국도 운영되는 곳이 많고 지역마다 심야약국도 운영되고 있으니 집주변 심야약국 위치만 알아놓으셔도 좋아요.
이 답변은 신고를 받아 관리자 검토 결과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통기한이 아예 지나버렸으면 버리시는게 좋습니다.
1. 알약 통을 원통으로 받았을 시
(개봉 시점부터 1년이내)
2. 알약 원통을 다른약통에 수량만큼 덜어서 담아준 알약의 경우
(6개월 이내)
3. 원래 포장이 PTP, 블리스타 낱개 포장인 경우
(유효기간까지 사용가능)
4. 원래의 시럽제(물약)을 원통 그대로 받으신 경우
(개봉후 28일 이내)
5. 한가지 시럽제를 작은 투약병에 용량을 맞춰 덜어서 조제해준경우
(14~28일 이내)
6. 투약병에 두가지 이상의 시럽제를 혼합해서 조제해 준 경우
(14일 이내)
7. 건조시럽제(가루형태, 주로 항생제)를 물에 타서 물약을 만든경우
(14일 이내)
(하지만 항생제마다 물을 타고나서부터 유효기간이 줄어드는데, 종류마다 다르다 7일인 것도 있음)
(오구멘틴시럽은 냉장보관으로 7일까지, 포리부틴드라이시럽은 상온에서 15일까지)
8. 알약을 약포지에 조제해준 경우
(60일 이내)
9. 원래의 튜브형 용기에 담겨진 연고류를 그대로 받으면
(6개월 이내, 뚜껑 잘닫아야함)
10. 연고류를 조제용 연고곽에 덜어서 담아준 경우
(30일 이내)
11. 알약을 갈아서 가루약으로 약포지에 조제해준 경우
(30일이내, but 가루약 종류에 따라 훨씬 짧아질 수 도 있다)
12. 멸균제품인 안약, 안연고
(개봉 후 28일 이내, 보존제 함유한 멸균제품에 해당함)
13. 1회용 사용안약은 보존제가 없으므로 사용후 바로 폐기
14. IV(정맥주사), 주사제, bag 은 개봉후 1시간 내에 투여해야한다.
이 답변은 신고를 받아 관리자 검토 결과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유효기간 지나면 바로 폐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약국에서 판매하는 일반의약품의 경우 알약은 보통 구매후 2년정도 사용 가능하고, 연고는 개봉 후 6개월 정도 사용가능합니다. 유효기간이 지난 경우 약의 성분이 변질되어 충분한 효능을 보기 어렵고, 부작용이 생길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폐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길 바랍니다.
약사 김수재 드림.
이 답변은 신고를 받아 관리자 검토 결과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준수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
* 의약품의 경우 '사용기한' 으로 표현하시는 것이 더 적절한 표현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기한은 최초 성분 함량을 기준으로 90% 이상의 효능이 보장되는 기간으로 설정합니다.
사용기한을 이미 지나버린 경우
유효성분의 변화로 약효 측면에서도 충분한 효과가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고
부산물로 인해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 사용하지 않으셔야 합니다.
겉보기에 멀쩡해보여 폐기하는 것이 다소 아까우시더라도
새로 처방 받아 복용하시거나, 일반의약품인 경우 약국에서 새로 구매하시어 사용하시길 권유드립니다.
개봉 이후 의약품 사용기한에 관해서는 아래 병원 약사회 자료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이 답변은 신고를 받아 관리자 검토 결과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조영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약이라면 어떠한 약이라도 폐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문의약품 폐기 수거함에 버리거나 가까운 약국 방문 후 폐기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약은 일반 식품처럼 유통기한이 있으며 보관방법에 따라 유통기한이 훨씬 짧을 수 있습니다. 또한 유통기한이 지난 약들은 체내 섭취시 부작용 및 후유증 등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복용시 주의해야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이 답변은 신고를 받아 관리자 검토 결과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유통기한이 지난 의약품의 경우 바로 버리시는 것이 제일 바람직합니다.
유통기한이 몇일 지났다고 바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약품이 변성이 일어나 복용했을 때 부작용이 나타난다면 구제받을 방법이 없습니다.
구급약으로는 진통해열제, 소화제, 종합 감기약, 콧물 감기약, 기침 감기약과 바르는 항생제 연고, 소독약, 거즈를 기본으로 구비해두시는 것을 권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