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전기·전자

경건한개미새67
경건한개미새67

새들은 어떻게 높은 전기가 흐르는 전선위에 앉을 수 있나요?

사람들은 전깃줄에 닿으면 감전이 되는데 전봇대나 바깥의 고압 전선 위에 새들이 앉아있는 모습은 자주 볼 수 있는데 새들은 어떻게 감전이 안되고 멀쩡하게 앉아있을 수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새의 몸이 작지만 전선보다 저항이 크며, 전위차가 없기 때문입니다.

    새가 전선을 두발로 앉을 때 두 발은 전위에 있습니다.

    이는 새의 몸을 통과하는 전위차가 없기 때문에 몸에 흐르지 않는 경우입니다.

    하지만 두 개의 다른 전위에 닿는다면 감전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전문가입니다.

    새들이 전선에 앉을 수 잇는 것은 전위차이가 존재하지 않기 떄문입니다. 실상 전위차이가 존재하지 않으면 전압차이가 없어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새의 두발은 결국 전압차이가 없는 곳에 있으므로, 감전의 위험성이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새는 전선에 앉아도 감전 등의 위험성에서 안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전위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새도 감전이 될 수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새들이 높은 전압이 흐르는 전선 위에 앉아도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전위 차가 없기 때문입니다.

    전기가 흐르려면 두 지점 사이에 전위 차가 있어야 하고, 그 사이를 전도체가 연결해야 합니다. 하지만 새는 두 발이 같은 전선 위에만 얹혀 있기 때문에, 두 지점의 전위가 거의 같아 전기가 몸을 통해 흐르지 않기에 감전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새들이 전깃줄 위에 앉아도 감전이 되지 않는 이유는 전기가 흐를 경로가 없기 때문입니다. 전기는 항상 전위차, 높은 전압에서 낮은 전압으로 흐르려는 성질이 있는데, 새는 양발이 같은 전선 한가락에만 닿아 있기 때문에 전기가 몸을 통해 흐르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광현 전문가입니다.

    전기가 통하지 않는 이유는 저항이 커서 전류가 새쪽으로 흐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더 자세히 설명한다면

    - 전위차가 없어서 전류 불가

    새가 한 전선만 밟으면 몸 전체가 그 전선과 같은 전위가 되어 전류가 흐를 이유가 없습니다.

    - 회로(폐회로) 미완성

    전류는 출발점과 도착점(땅·다른 전선) 사이를 이어야 흐르는데, 새가 단독으로 전선을 밟으면 회로가 완성되지 않습니다.

    - 전류 경로 우회

    전선 구리 등이 훨씬 전도성이 좋아 전류는 새 몸이 아닌 전선 내부를 따라 흐르는 것이 유리합니다.

    - 감전 위험 상황

    · 두 개 이상 전선 또는 접지와 동시에 닿을 때

    · 초고압선 주변 코로나 방전 발생 시 미세 충격 가능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새들이 전선 위에 앉아도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전선과 새의 몸이 전기 흐름의 경로를 만들지 않기 때문입니다.

    새는 전선에만 닿아 있고 땅이나 다른 전선과 연결되지 않아서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그래서 감전되지 않고 멀쩡하게 앉아 있는 거랍니다. 만약 새가 두 전선에 동시에 닿거나 땅에 닿으면 감전될 수 있으니 조심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새가 고압 전선 위에 앉아도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두 발이 같은 전선 위에만 닿아 있기 때문에 전류가 흐를 경로가 없기 때문입니다 전류는 항상 전위 차가 잇는 두 지점을 연결해 흐르려 하는데 새는 동일한 전위의 한 점만을 접촉하므로 전류가 몸을 통과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만약 새가 동시에 전선과 전붓대나 다른 전위의 전선을 건드리면 감전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