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날씨가 추우면 입에서 입김이 나오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여름에는 괜찮은데 날씨가 어느정도 쌀쌀해지거나 추워지면 동물이나 사람의 입에서 입김이 나오잖아요. 이렇게 기온이 내려가면 입에서 입김이 나오는 원인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쉽게 설명드리면..

      난로위 주전자에서 물이 끓고 있으면 주전자 주둥이나 작은 홈으로 수증기가 나오죠..상상을 해보면..ㅎㅎ

      그때,,그 수증기 가까이에 손바닥을 갖다대고 있으면 손에 서서히 물기가 맺히게 됩니다.(뜨거우니 직접 실험은 마시구요..^^)

      똑같은 원리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사람 인체의 온도는 보토 36~37도 정도되는데..사람 입에서 나오는 입김도 체온과 유사한 온도의 공기를 내뿜는데요..

      그렇게 나온 입김이 겨울철 대기온도가 영하의 온도라면 그 수증기가 바로 응결되어 버리겠죠?

      결국..액체가 열을 받으면 기체가되고(수증기) 다시 열을 내려버리면 액체가 되고...온도를 더 내려버리면 고체(얼음)가 되는 것처럼..

      기체가 액체화 및 고체화가 입을 통해 나온 따뜻한 기체가 차가운 대기를 만나서 응결되는 현상이 우리 눈에는 하얀 김으로 보인답니다. ㅎ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추운 날씨에 입에서 나오는 입김은 물질의 상태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사람이 내쉴 때, 공기는 따뜻하고 습한 상태입니다. 그러나 입에서 나오는 공기는 몸 온도와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더 따뜻하고 습기가 많습니다. 입에서 나오는 입김은 공기 중의 물이 차가워져 응축되어 형성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입김은 바람이 없는 조건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동물과 사람의 입에서 나오는 입김은 호흡을 통해 몸에서 나오는 수증기가 공기와 만나 냉각되면서 생성됩니다. 일반적으로 날씨가 추워지면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입김이 더 잘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