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는 왜 사람도 없는데 계속 지을까요?
인구는 감소하는데 있어 아직도 가격이 높고 지금 건설사도 부도 나는 것을 알면서도
계속 아파트를 짓고 있는데 무슨 생각일까요? 의견 여쭙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그전에 계약이 됐던 물량들을 짓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금은 모든물가가 올라서 짓고 있다해도 상황이 안좋아서 분양을 받았던 분들도 해약을 하는 바람에 미분양건들이 늘어나고 있는 상태입니다
새로운 수주는 많지 않을것으로 봅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과 수도권의 경우 인구유입은 계속이 되고 세대는 증가를 하고 있습니다. 즉 서울의 경우 주택수요는 늘어나고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라 가격이 올라가는 현상이고 지방의 경우 주택 수요 대비 과잉공급으로 미분양으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수요대비 공급에 대한 사업성 분석이 잘 못 되었을 가능성이 크고, 또한 고분양가에 미분양으로 건설사들은 정말 힘들어 하고 있습니다. 수요 대비 적절한 공급정책과 재개발 및 건축에 정확한 사업성 분석이 필요하다고 사료됩니다.
또한 PF시에도 정부에서는 자기자본 비율이 높은 경우 대출을 허용하는등 일련의 조치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단 인구가 감소하는 건 사실이지만, 부동산 시장에서 실제 수요감소로 나타나기 까지는 시간이 더 소요될수 있습니다. 현재 인구감소가 심각한 세대가 영유아, 아이들 세대이고 해당 세대들이 아직 실수요자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아파트의 수요는 지역에 따라서 차이가 큰편이고, 서울, 수도권에서는 아직까지 수요가 꾸준히 유지되고 있기에 공급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만 이전 건설비상승과 부동산 pf위기로 인해 향후 주택공급량은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공급부족에 따른 가격상승여지가 남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안구감소는 당장 현실의 문제가 아닌 20
-30년 이후의 문제입니다
그러나 당장 서울의 주거 현실은 주택신보급율이 91%에 자나지 않아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태입니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공급량 확대를 위해 재건축. 재개발의 규제를 완화함은 물론 용적율의 상한선 및 그린밸트 까지
해제하는 등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러나 지방건설 경기는 침체국면으로 양극화 현상을 나타내고 있어 이를 해결해야하는 정책 당국의 고심은 커다란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인구가 줄어도 현재 서울과 수도권응 지방에서 상경하는 젊은 인구가 많습니다.
또한 1인가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어 아직은 주택이 부족하며 특히 신축아파트가 부족합니다.
현재 구축 아파트에 사시는 분들도 신축으로 이주하고픈 마음이 있기 때문에 신축아파트를 계속 짓고 있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