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그럭저럭순진무구한어묵
그럭저럭순진무구한어묵

경제 성장과 GDP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성별
여성
나이대
43

국가 경제가 성장하면 국민들은 더 많은 돈을 벌고 소비할 수 있잖아요. 이를 수치로 나타내는 것이 바로 GDP고요. 그런데 GDP가 높아지면 무조건 좋은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성장에 대한 대표적 지표가 GDP인데요. 아무래도 GDP가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좋아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숫자에 매몰되어선 안됩니다. GDP는 평균이고, 소득의 불평등은 존재할 수 밖에 없습니다.

  • GDP는 한 나라 안에서 경제활동을 통해 생산된 재화와 용역의 부가가치를 모두 더한 값으로 해당 국가의 경제규모와 성장률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GDP가 높은 것은 곧 국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어 GDP높으면 높을수록 좋지만 다만 GDP는 국민들의 삶의 질, 소득 불평등, 환경오염 등의 영향은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는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민소득인 GDP가 올라간다는것은 경제적으로 좋은 현상입니다.

    올라간 소득은 결과적으로 소비로 이어지게 되어 국가 경제에 좋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GDP가 높아지면 경제 성장과 국가의 부가 증가하는 긍정적인 신호지만, 그 성장의 질에 따라 부의 분배나 환경적 영향이 부정적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GDP가 높아져도 소득 불균형이 심화되거나 자원 고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빈부격차만 빼면 좋죠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GDP의 상승은 평균 국민 소득을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경제 성장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복지제도가 잘 구축되고 있지 않다면 빈부격차가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모든 국민의 소득이 증가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GDP가 높아진다고 해서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닙니다. 성장의 중요한 지표로 GD를 사용하지만 해당 지표가 국민의 삶의 질이나 행복도를 직접적으로 반영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GDP의 증가가 소득불평등의 관계를 보여주지는 못하고 환경비용(환경파괴나 자원고갈의 문제)은 반영되지 못합니다. 또한 가사노동이나 자원봉사 활동등 비공식적인 경제활동의 가치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GDP 이외도 다양한 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평가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경제 성장과 GDP의 관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일단 경제가 성장을 하게 되면

    무조건 GDP가 오르게 됩니다.

    그렇기에 높은 GDP는 경제 성장의 주요한 증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