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협착증 환자는 이거 이거 해도 되나요?
질문 그대롭니다 25세 남
척추관 협착증환자는 이거 해도 되나요?
1. 의자 90도 보다 100~ 110도 정도 기울기의 의자로 요추 전만 유지한채 앉아있기
2.간단한 조깅?
3.허리쿠션 을 사서 똑바로 누워잘때 허리밑에 넣어 요추전만 유지한채 자기, 신경이 눌리진 않겟죠?
4.허리를 중립시킨채 하는 신전운동
5.플랭크 및 브릿지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척추관 협착증은 척추관의 좁아짐으로 인해 신경 압박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개인마다 증상의 정도와 영향받는 부위가 다를 수 있어 획일화된 운동 처방은 어렵습니다. 그러나 귀하의 질문에 대해 일반적인 관점에서 답변 드리겠습니다.
1. 요추 전만을 유지하는 자세는 척추관 협착증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장시간 같은 자세로 앉아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니, 중간중간 일어나 가벼운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2. 조깅은 척추에 반복적인 충격을 주므로,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대신 걷기, 수영, 자전거 타기 등 저강도 유산소 운동을 권장합니다.
3. 허리 쿠션 사용은 척추 전만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단, 너무 높은 쿠션은 오히려 요추에 과도한 압력을 줄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4. 허리를 중립 시킨 채 하는 신전 운동은 척추 주위 근육을 강화하고 유연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통증이 유발된다면 즉시 중단하셔야 합니다.
5. 플랭크와 브릿지 운동은 코어 근육을 강화하여 척추 안정성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척추관 협착증이 심한 경우에는 주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운동 요법과 더불어 자세 교정, 체중 관리, 필요 시 물리치료나 약물 치료 등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전문의와 상의하여 환자 개개인에 맞는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므로, 담당 의사와 꾸준히 소통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우선 25세에 척추관협착증이 생기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척추관협착증을 어떤 검사로 진단받으신건가요? 단순히 X-ray만 찍어서는 척추관 협착증을 진단하기 어렵습니다.
MRI를 찍어봐야 척추관협착증을 진단할 수 있으며 파행이라고 하는 보행시 통증때문에 쉬었다 가야하는 증상이 있어야 척추관 협착증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진단이 정확해야 어떤 자세, 어떤 활동이 적절한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척추관 협착증이 맞다는 전제하에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요추전만을 유지해주는건 좋은겁니다. 척추관협착증도 결국 디스크탈출, 후관절비대, 황인대 비대에 의해서 척추관이 좁아지는건데 디스크탈출을 회복시키는데 요추전만이 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조깅의 경우도 도움이 되는데 증상이 악화되지 않는 선에서 하셔야겠습니다. 조깅을 하려고 하시는걸 보면 파행증상이 없으실거라 생각됩니다.
허리쿠션 도움이 되는데 너무 높은 쿠션을 사용하지는 마시고 수면에 방해가 될 정도로 하실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이걸 쓴다고 신경이 눌리지는 않습니다.
허리 자세에 굴곡, 중립, 신전이 있습니다. 중립시킨채 신전을 한다는게 말이 안됩니다. 굴곡은 안하시는게 맞고 척추관협착증의 경우 과도한 신전시에 방사통이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이 증상이 생기지 않는 선에서 신전한다고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이 범위를 정하기가 어렵다면 중립만 해주셔도 됩니다.
플랭크는 도움이 되는데 허리 통증이 심할때는 하지말고 통증이 많이 좋아지고 해주시면 복횡근, multifidus (기립근중 하나) 를 강화해서 척추를 잡아주는 역할을 해서 도움이 되겠습니다.
브릿지도 도움이 되는데 운동중에 요추전만이 깨지는 경우가 있어서 이걸 유의하면서 운동해주셔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