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무역분쟁과 보호 무역주의 강화가 글로벌 공급망에 주는 변화는?

미국 중국 무역 분쟁등 보호무역 강화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촉발했는데요. 이에 따른 생산지 이전, 비용 구조 변화, 소비자 물가 영향등 구체적인경제 효과가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미중 무역갈등이 본격화되면서 중국에 집중됐던 생산기지가 베트남, 인도, 멕시코 등으로 분산되는 흐름이 뚜렷해졌습니다. 생산지 이전은 물류비용과 통관 리스크를 함께 고려해야 하다 보니 초기 비용이 올라가고, 이로 인해 단가 상승과 원가 구조 변화가 뒤따릅니다. 결국 이런 변화는 제품 가격에 반영돼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며, 특히 중간재 수입 비중이 큰 우리나라로선 제조업 전반에도 부담이 가중될 수 있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무역분쟁과 보호무역주의 강화는 결국 우리나라와 미국의 협상과정을 이끌게 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도 국익과 핵심산업을 보호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고, 미국의 과도한 시장개방 요구등에는 무조건 받아들이는 상황을 만들지는 않아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 미중 무역 분쟁 이후,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했고, 이에 대응해 중국도 보복 관세를 시행했습니다. 이런 흐름 속에서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생산 기지를 동남아, 인도, 멕시코 등지로 다변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공급망이 단순히 중국 내에서 끝나지 않고 여러 국가로 분산되면, 공급망 관리와 물류비용이 더 증가하게 됩니다. 원자재 조달, 부품 이동, 최종 조립이 한 국가에서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복잡성이 증가하고, 그만큼 비용과 시간도 더 들게 되는 구조로 바뀌게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대표적으로 현대차는 미국의 공장을 신설하여 대응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내 일자리 감소 - 실업자 증가 - 경제 악화로이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부분으로 인하여 기업 및 개인은 변동성에 대응할 수 있는 플랜을 각각 짜야될듯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