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슷한 성분인데도 약과 영양제로 나눠지는데 어떤 차이로 구분되는 건가요?
비슷한 성분인데도 병원에서 처방해주는 약과 일반적으로 구매할 수 있는 영양제로 나눠지는데요. 비슷한 성분으로 처방 약과 영양제는 어떤 차이로 구분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호현 약사입니다.
약과 영양제는 사실 허가사항에 따라 영양제가 약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일반적으로는 특정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것은 약 건강 관리 및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것을 영양제라고 부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오늘도 좋은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연서 약사입니다.
함량이 다르다거나 부작용 가능성이 있어 의사의 관리가 필요할 수도 있고 질병 치료에 효과가 있는 제형이나 고순도의 원료일 경우 전문약으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다희 약사입니다.
병원에서 처방을 받아야 구매할 수 있는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이나 건강기능식품은 대체로 성분이나 함량에 차이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용학 약사입니다.
의약품은 식약처에서 허가를 내주는 기준이 까다롭습니다.
예를들어 같은 비타민b군 제품이라고 해도 일반의약품으로 구분되는 제품은 그 구성성분 하나하나 부형제까지 무엇이고 그 함량은 얼마인지 전부 밝혀져야 하며, 그 함량도 95% 내외로 정확하게 포함되어있어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그 의약품을 제조하는 공장의 시설도 gmp기준에 적합해야 제조가 가능합니다.
이처럼 제조부터 제품의 품질까지 엄격하게 관리가 되는 것이 의약품 등급의 약입니다.
반면 건강기능식품은 이보다는 그 허가절차가 쉬우며, 제품의 구성성분의 함량을 전부 표기할 필요가 없고, 그 함량도 80% 내외면 적합 판정이 됩니다.
즉 같은 성분이면 의약품이 훨씬 품질면에서 뛰어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성엽 약사입니다.
의약품이냐 건강기능식품이냐, 그리고 일반식품이냐를 구분짓는 기준은 효능의 정도 여부라고 보시면 됩니다. 실제 임상시험을 실시했을 때, 특정한 물질이 효능이 있는지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그 효과의 정도가 명확하면 의약품으로 허가를 받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비슷한 성분이더라도 함량, 순도, 임상시험여부, 효능효과에 따라 전문약, 일반의약품, 건강기능식품이 나눠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비타민디의 경우 처방약은 알파칼시돌 성분이며, 영양제는 콜레칼시 페롤 성분입니다. 일반적인 건강관리 목적인 경우에는 영양제로도 충분하나, 특정질환개선을 위해서는 처방약이 보다 효과적일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되셨길 바래요
🎁응원박스🎁 감사드려요.^^항상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