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23.04.13

위안화결제의 국제결제 비중증가로 인한 금융과 경제쪽에 한국에 미칠영향이 궁금합니다.

최근 몇년동안 중국의 위안화 국제결제 비중이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데요. 물론 달러결제대비 전체비중으로하면 여전히 미미하다는것은 알고 있습니다.

다만 향후 이러한 위안화 결제의 국제결제 비중증가로 인하여 한국의 금융과 경제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장단기적으로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13

    안녕하세요.

    중국 위완화 결제비율이 증가를 하고 있다면, 미국도 지속적으로 보고 있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큰틀의 의미는 기축통화국의 자리가 어디가 되느냐인것 같다고 생각이 듭니다.

    기축통화국의 위치를 지키게 되면 모든 무역과 결제가 기축통화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만큼 영향력이 커진다고 봐야할듯합니다.

    그래서 중국이 그 비율을 확대해 가고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의 위안화 국제 결제 비중은 증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장기적으로는, 중국의 위안화 국제 결제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국제 금융 시장의 다양성이 증가하고, 달러의 지배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한국의 수출기업이 직면하는 위안화 환율 리스크가 증가할 수 있으며, 중국의 금리 변동이 한국의 금융시장에도 중국금리의 변동성으로 인한 나쁜 부작용이 나올가능성이 큽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과 우리나라는 땔래야 땔 수 없는 국가입니다.

    최근 미국의 수출입 비중이 중국에 비하여 더 커지긴하였으나

    중국은 아직도 우리나라의 가장 큰 교역국 중 하나로

    중국의 위안화 결제로 인하여 미중분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보이며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외줄타기 외교를 잘 해야 하며 이 것이 실패한다면

    중국에 의한 경제보복 등을 배제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의 위안화 국제결제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한국의 금융 및 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의 위안화 국제결제 비중 증가에 따른 한국의 금융 및 경제에 대한 영향은 복합적이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를 파악하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