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청춘만화
청춘만화

일본 관세 인하로 현대차 미국서 불리하다는데 유럽 진출이 답일까요

뉴스에 일본차는 관세 혜택 받고 현대차는 불리하다는데요. 그래서 유럽으로 눈 돌린다는데 이게 진짜 그런 건가요. 전 잘 모르겠는데 그냥 기사만 큰소리치는 거 아닌가 싶기도 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 자동차 업계가 미국 시장에서 일본과 비교해 불리해진 건 사실입니다. 일본은 미국과 체결한 무역협정 덕분에 관세가 낮아져 가격 경쟁력이 생겼고 현대차는 여전히 2.5퍼센트 관세를 부담하고 있으니까요. 그렇다고 무조건 유럽 진출이 답이라고 단순하게 보기는 어렵습니다. 유럽 시장은 이미 독일 프랑스 등 자국 브랜드가 강세고 전기차 전환 속도도 빨라서 진입장벽이 꽤 높습니다. 다만 전기차 규제나 탄소배출 기준이 엄격한 만큼 현대차가 친환경 기술로 차별화한다면 기회가 없는 건 아닙니다.본의 관세 혜택은 단기적으로 현대차에 불리하게 작용하지만 장기 전략은 단순한 지역 이동이 아니라 제품 경쟁력과 기술력으로 풀어가야 한다고 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일본이 미국과 무역 협정으로 관세 혜택을 받으면서 도요타나 혼다는 가격 경쟁력에서 현대차보다 유리한 건 사실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현대차가 유럽 시장 확대를 강조하는 건 전략적으로 자연스러운 흐름입니다. 유럽은 전기차 전환이 빨라 현대차기아가 강점을 가진 분야라서 성장 여지가 크지만, 그렇다고 미국 시장을 버리고 유럽으로 간다는 얘기는 과장에 가깝습니다. 실제로는 두 지역 모두 잡아야 하는 상황이라 기사처럼 단순 대체라기보다는 리스크 분산 전략에 가깝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일본은 이미 15%의 관세를 적용받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한미 협상과정에서 합의가 되었을 뿐 세부적인 절차내용이 나오지 않아 아직 25%의 관세를 부과받고 있습니다.

    최근의 기사를 보면 유럽 등의 수출에 호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관세협상이 잘 이루어지더라도 15%의 관세는 부과될 것이기 떄문에 현대차 등은 미국내 투자를 늘리고, 수출국 다변화 전략을 짜는 등 미국과 다른 국가와의 전략을 다르게 설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현재 EU에 대한 매출은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유는 EU의 경우 현재 소득이 증가하지 않고 있기에 이에 대하여 자동차에 대한 매출이 늘어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미국시장에 대하여 꾸준하게 현대차가 공략을 하고 있었고 지금은 큰 악재를 만났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