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처음부터커다란양장피
처음부터커다란양장피

감수 1분열에서 염색체수가 감소된다는것은 세포하나당으로 말하는것인가요?

감수분열 1분열하면 염색체 수가 2분의 1로 감소된다고 하잖아요. 근데 이건 세포 하나당 염색체 수가 2분의 1로 감소된다는것이죠?? 세포 하나당 염색체수가 46에서 23으로?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감수분열의 첫 번째 분열 과정에서 관찰되는 염색체 수의 감소는 세포 하나당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 과정에서 염색체 수가 절반으로 감소하는 것은, 각 세포의 염색체 배열이 조정되어 각 세포가 반수체(haploid) 상태가 되기 때문입니다. 인간의 경우, 각 세포는 보통 46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23쌍의 상염색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감수분열 I 과정에서는 이 상염색체 쌍이 서로 분리되어 각각의 세포가 23개의 염색체만을 가지게 됩니다. 이로써 생성된 각각의 세포는 수정 과정에서 다른 세포의 유전자와 결합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이는 생물의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감수분열 1분열에서의 염색체 수 감소는 각각의 세포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는 생식 세포가 유전 정보를 다음 세대로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 맞습니다. 감수 1분열에서는 세포 하나당 염색체 수가 절반으로 감소합니다. 감수 1분열이 끝나면 원래 46개의 염색체를 가진 세포가 23개의 염색체를 가진 두 개의 딸세포로 나뉘게 됩니다.

  • 네, 맞습니다. 감수분열 1분열을 거치면 한 세포당 염색체 수가 절반으로 감소합니다.

    감수분열 1분열의 가장 큰 특징은 쌍을 이루고 있는 상동 염색체가 서로 분리되는 것입니다.

    감수분열의 목적은 생식세포를 만드는 것이고, 생식세포는 수정될 때 다른 생식세포와 만나 하나의 새로운 개체를 만들어야 하므로, 염색체 수가 절반으로 줄어들어야 합니다. 만약 염색체 수가 그대로라면, 수정 후 염색체 수가 너무 많아져 유전 정보가 불안정해질 수 있죠.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감수분열 1분열에서는 세포 하나당 염색체 수가 절반으로 줄어들어요.

    일반적으로 인간의 경우, 모세포는 46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어요.

     

    이 과정에서 염색체가 복제된 후, 각각의 쌍에서 하나씩 분리되어 두 개의 딸세포가 생깁니다. 이때 각 딸세포는 23개의 염색체를 가지게 되죠. 

    결국, 한 세포에서 시작한 염색체 수가 46개에서 23개로 줄어드는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