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겆이에서 설거지로 변경된 이유가 뭔가요?
맨처음은 설겆이가 표준어로 사용되어오다가 지금은 설거지가 맞는표현이 된걸로 알고있습니다. 이렇게 변화가 된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스타박스입니다.
원래는 설겆이가 표준어이고 설거지가 비표준어였습니다.
그랬던 것이 1989년 개정된 한글맞춤법 규정에 따라 설거지가 표준어가 되고 설겆이가 비표준어가 되는 등 두 단어의 지위가 완전히 뒤바뀌었습니다.
그 이유는,
단어 형성 과정을 살펴보면, 설겆이는 ‘먹고 난 뒤의 그릇을 씻어 정리하다’는 뜻인 ‘설겆다’의 어간 ‘설겆-’에 명사형 접미사 ‘이’가 결합한 형태입니다. 설겆다가 기본형이므로 설겆으니, 설겆더니, 설겆어라 등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설겆다’의 활용형이 언중 속에서 널리 쓰이지 못했었습니다다. 언어는 사람들 사이에서 쓰이지 않으면 사어(死語)가 되며, 표준어규정은 사어가 된 단어를 고어(古語)로 처리됩니다.
즉 잘 쓰이지 않는 설겆다가 사어가 되며 설겆이란 표현 자체가 사어가 된 고어가 되어버렸고,
이에 사람들이 쓰는 발음에 따라 설거지가 표준어로 지정이 되어버렸던 것입니다.
참고로 설거지하다와 바꿔 쓸 수 있는 우리말에 동사 부시다가 있는데요.
사실 요즘은 잘 사용하지는 않지만, 윗 세대 어른들은,
밥 먹고 나면 바로 그릇을 깨끗이 부셔라..라고 이야기 하기도 하셨는데 이와 같이 그릇 등을 씻어 깨끗하게 하다는 뜻입니다. 간혹 부수다 와 혼동하는 이들이 있는데(밥먹고나서 먹은 밥그릇을 왜 깨뜨리라는 거지?), 활용형을 살피면 그래도 구분이 좀 쉽습니다.
그릇 등을 깨뜨리다는 뜻의 ‘부수다’는 부숴, 부수니, 부쉈다 등으로 활용합니다.
반면 ‘부시다’는 부셔, 부시니, 부셨다 등으로 활용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튼튼한라마199입니다.
1988년 표준어가 바뀌기전에는 설겆이가 맞았으나 표준어 제정이 바뀌면서 소리나는대로 적은 설거지로 바뀌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