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서울 하급지라 하면 어느 구 근방을 말하나요?

서울 부동산 자체가 굉장히 비싸지만 구마다 가격이 천차만별인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서울 하급지라 하면 어느 구 근방을 말하나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같은 구내에서도 위치에 따라서 인기도는 달라질 수 있겠습니다만, 일반적으로 인기가 좀 없는 지역이라면 흔히 노도강으로 불리는 노원구, 도봉구, 강북구 및 중랑구와 금천구 등을 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통상적으로 서울내 급지를 나누었을 때 그 기준이 무엇이냐에 따라 차이는 있겠으나, 평균 매매가격을 기준으로 구분할때 가장 하급지는 흔히 말하는 노도강(노원, 도봉구, 강북구)가 이에 해당이 됩니다. 다만 노원구의 경우는 사실 재개발이슈와 지역특성상 하급지에 속한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중랑구와 금천구등이 오히려 강북구와 도봉구와 함께 하급지에 속한다고 볼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의 하급지라면 대개 서울의 변두리 지역을 의미하며 주택가격이 저렴한 지역이나 교통인프라가 잘 갖추어지지 않은지역을 말합니다

    대체로 금천구 중량구,강죽구,도봉구 등을 말합니다

    그리고 상급지라면 교통인프라가 잘갖추어져 있고 학군이 좋으며 편의시설과 고급주택이 즐비한 지역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구분은 행정적이 아닌 비공식적 부동산시장의 언어입니다 주택가격 인구밀집 문화시설등 선호도가 높은 지역을 의미합니다

    참고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 내 상대적 저평가된 지역은 도봉, 강북, 금천, 노원 일대가 대표적입니다.

    교통망, 개발계획, 학군이 제한적이거나 구축 연식이 많은 곳이 포함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지역별 감정평가는 기준이나 거래 시세를 토대로 보통은 시가 총액이 높은 상급지와 비교하여 저렴한 지역을 하급지라 부릅니다.

    부동산 계급도를 보면 강북권 일부, 도심 외곽 교통이 덜 발달된 지역이 대표적입니다.

    하급지는 서울 내에서도 가격대가 낮고 개발 여건이 부족하거나 개발 시기가 늦은 지역을 의미합니다. 이용 목적에 따라 다르지만 투자/거주 모두 가능하며 특히 저렴한 가격이 매력적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 하급지는 보통 경기도 접근 편의가 떨어지거나 생활환경 측면에서 불리한 지역들로 구로구, 관악구, 강서구 등이 분류가 되었지만 재개발 및 개발 효과로 현재 변화가 진행중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