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빼어난듀공281
빼어난듀공281

아이학교배웅시 갈때까지기다려달라는 아이심리 궁금합니다

아이가초등학교저학년인데 버스를탑니다 자기가갈때까지 즉 버스가 갈때까지 배웅을원하여손흔들면서 배웅을해주고있는데 아이심리가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성큼성큼걷는펭귄836
      성큼성큼걷는펭귄836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어쩔 수 없는이별의 순간에

      부모님의 적극적인 이별의사표현에 대한 거부반응으로 보입니다

      지금처럼 끝까지 배웅해주며 즐거운 마음으로 등교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가 버스를 타고 학교에 가는 동안 부모가 끝까지 기다려주길 바라는 것은 여러 심리적 요인에서 비롯될 수 있습니다. 이 나이대의 아이들은 여전히 부모와의 정서적 유대가 매우 강하며, 부모의 존재가 안정감과 안도감을 제공해 줍니다. 버스가 떠날 때까지 부모가 배웅해 주는 행동은 아이에게 "안전하게 보호받고 있다"는 느낌을 주어 학교로 가는 길이 덜 불안하고, 마음이 편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분리불안이 있을 수 있습니다. 부모와 떨어지는 순간이 낯설거나 불안할 수 있으며, 부모가 시야에서 사라지는 것을 두려워하기도 합니다. 손을 흔들고 배웅해주는 행동은 아이에게 "부모가 나를 지켜보고 있고, 언제든 돌아올 것이다"라는 심리적 안정을 주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아이는 이 과정에서 일종의 의식을 만들고 있을 수 있습니다. 매일 같은 방식으로 배웅을 받고 학교에 가는 것이 일상화되어, 이 의식이 아이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고, 자신감을 심어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심리를 이해하고 아이가 원하는 배웅을 해주면서 점차 아이가 스스로도 안정감을 느끼도록 돕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초등학교 저학년이며 아직 어린 아이 입니다,

      당연히 부모와 떨어짐이 아쉽기 때문에 자기가 버스 타고 갈 때 까지 배웅해 달라고 하는 것입니다.

      애착 형성이 잘 된 아이도 그렇고 애착 형성이 된 아이들도 부모가 자기를 끝까지 배웅해 주는 것을 좋아합니다.

      안심이 되는 것이죠. 하원 후, 하교 후에 있다가 엄마를 만날 수 있다 라는 희망을 가지고 등원하는 차에 탑승을 하기 때문에 아이가 집에 도착하면 반갑게도 맞아주시고, 많이 안아주시고, 아이와 대화도 나누시면서 즐거운 시간을 함께 보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