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은 그동안 납부했던 부담금보다 더 받는 경우가 많이 있나요?
직장을 다니면서 국민연금을 5천만원정도 납부를 하고 퇴직을 해서 국민연금을 매월
일정금액을 받는다면, 수명이 긴 경우, 납부한 금액보다 더 받는 경우가 많은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국민연금은 평생 수령합니다 수령조건은 최소 10년간 납입을 해야합니다 오래산다면 납입금액보다 많은 금액을 수령하게 될 확률이 높습니다 퇴직을 했다면 지역가입자로 전환이 되어 납부를 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국민연금은 실제로 납부한 금액보다 더 많이 받으실 가능성이 높습니다. 수명이 길어질수록 더 많은 연금을 수령하실 수 있습니다. 최소 10년 이상 납부하시면 평생 연금을 받으실 수 있고, 대부분의 경우 납부액을 훨씬 초과하는 금액을 받으시므로 안정적인 노후 준비가 가능합니다. 다만, 연금액은 가입 기간과 납부 금액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정확한 내용은 국민연금공단에 문의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국민연금을 받고 계시는 분들은 그 때 당시의 연금 지급률을 기초로 연금을 받고 있기에
보험료도 3% 밖에 되지 않았고 연금 개시 시기도 60세였으며 소득 대체율도 70%에 달하였기 때문에
연금 개시 이후에 바로 사망하지 않는 경우에는 낸 보험료보다 많은 금액을 보상받았습니다.
다만 계속되는 연금 고갈로 보험료도 9%로 올랐으나 소득대체율은 42% 밖에 되지 않고 연금 개시 시기도
61세 이후로 조정이 되었으며 개정이 된다면 더 불리하게 개정이 될 것으로 보여져 쉽지는 않아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박경식 보험전문가입니다.
● 장수 할수록 더 많이 받게 되니 더 이득입니다!
그러니 건강 잘 챙겨야 합니다^^
국민연금 은
= [연금]입니다.
= 연금은 [평균수명]을 기준으로 연금액을 정합니다.
= 따라서 정해진 연금액을 받는데,
조기 사망하는 것 보다는 오래 살수록 이득이랍니다.
● 누구나 낸돈 이상을 받게 되어 있습니다!
= 낸돈 이상 받지 못한다면 누구도 가입하지 않겠죠^^
= 100% 안정적이다 라고 할수는 없지만,
국가적인 제도라 다른연금보다 더 안정적 입니다.
● 오래 살수록 더 이득이지만, 조기사망 한다고 해도 다 잃는건 아닙니다.
= 기본적으로 유족 연금으로 전환되어 유족이 지급 받게 됩니다.
= 구체적인 금액과 기간은 돌아가신 분의 누적수령액(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국민연금은
가장 기본적인 연금이며,
안정적이고 민간연금보다 저는 수익성적인 부분도 좋다고 생각한답니다^^
안녕하세요. 정구철 보험전문가입니다.
수명이 길 경우에는 당연하게 연금수령 시기가 길어지기 때문에 납부함 부담금보다 더 받게 됩니다.
그러나 조기수령하면 더 적을수도 있다는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민욱 보험전문가입니다.
네, 이미 인터넷상에
700만원도 안낸분이 1.18억원을 수령받으신 사례가 이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마희열 보험전문가입니다.
직장을 다니면서 국민연금을 5천만원정도 납부를 하고 퇴직을 해서 국민연금을 매월
일정금액을 받는다면, 수명이 긴 경우, 납부한 금액보다 더 받는 경우가 많은지 궁금합니다.
예 맞습니다, 납입한 금액 보다가 휠씬 더 많이 받게 되십니다,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직장을 다니면서 국민연금을 5천만원정도 납부를 하고 퇴직을 해서 국민연금을 매월
일정금액을 받는다면, 수명이 긴 경우, 납부한 금액보다 더 받는 경우가 많은지 궁금합니다.
: 네 기본적으로는 수명이 길다면 납부한 금액보다 더 받는 경우는 많습니다.
국민연금은 최소 가입기간 즉 10년이상을 납부하면 사망시까지 지급을 받기 때문이며,
연금 수령중 조기에 사망하는 경우에도 연금액최소 지급액을 지급하기 때문에 현재는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보험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국민연금의 경우 납부했던 부담금보다 더 많이 받는 것을 기초로 만들어진 연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손실을 보는 것이 아닌 이자율을 고려한 수익형제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금은 만 63세부터 연금을 받을 수 있는 구조이며, 연금액은 약 60만원 이상의 받을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져있습니다. 정부에서도 이러한 연금을 수익형으로 발표를 했찌만, 출산율이 낮아지면서 연금이 고갈될 것으로 지금 현재 많은 걱정이 되고 있는 실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