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

시대마다 유행하는 장르가 바뀌는 이유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신라시대 대표적인 장르는 향가,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장르는 한시라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시대마다 유행하는 장르가 바뀌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시대마다 사회는 변화하고 발전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인간들의 가치관, 우선순위, 삶의 방식 등을 영향을 미치며, 이는 예술과 문화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장르도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맞추어 변화하게 되는 것으 당연한 것 입니다.

  • 안녕하십니까? 문학 전문가 박에녹입니다. 시대마다 발전하고 유행하는 문학의 갈래가 바뀌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문학을 창작하고 향유하는 따라 문학갈래의 변화가 생깁니다. 이 변화는 각 시대의 정치, 사회, 경제적 상황과도 밀접한 영향이 있습니다. 고대사회와 삼국시대, 고려시대까지는 지배계층이 즐겼던 작품들이 그 시대에 대표적 문학갈래가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지배계층만이 한자를 배우고 썼던만큼 한문문학이 대표가 되어 한시와 한문으로 쓰인 신화, 설화, 패관문학 등이 그 예가 됩니다. 지배계층들이 한자로 기록하여 문학을 창작했지만 백성들이 즐기는 민요 등도 작품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신라시대에는 한자를 우리말의 음과 뜻을 표현하는 도구로 만들어진 향찰로 향가를 창작하여 대표적 문학갈래가 되었습니다. 고려시대에는 한문문학이 발전 속에 패관문학이 두드러진 모습을 드러내었고 향가의 전통을 이어받아 한자를도구로 사용한 고려가요가 유행하였습니다. 고려가요에는 귀족계층이 창작한 경기체가와 백성들이 향유하던 민요를 바탕으로 만든 속요가 있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양반계층에 의해 한시, 한문소설 등이 초기에 발전하였습니다. 그런데 세종대왕의 한글창제 이후 중인 이하 계층들까지 한글의 사용이 확대되면서 조선후기에는 한글소설이 대표적 문학갈래로 자리잡게 됩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시대마다 대표적 문학갈래는 창작 및 향유계층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유행이 바뀌는건 인간의 본능입니다

    한가지에 너무 몰두하면 죽기 때문이죠.

    음식을 가려먹으면 영양소 결핍으로 죽고

    한장소에 너무 오래 머무르면 사냥당해서 죽습니다.

    그래서 생물에겐 아무리 좋은 것도 "질린다"는 감정을 느끼도록 되어 있어요

    그래서 음악도 옷도 심지어 사상이나 국가도 세대교체를 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