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재빠른들소8
재빠른들소8

우리나라의 경우 주식의 하루 인상폭이 30프로 ?

안녕하세요ㆍ우리나라의 경우 하루에 주식이 인상폭이 30프로로 알고 있는데요ㆍ다른나라 특히 미국의 경우 하루에 주식의 가격 인상폭은 얼마인가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을 포함한 대다수 선진국은 상하한가 제도라는게 없습니다 즉 하루에 코인처럼 무제한으로 오르거나 아예 이론상0원까지 주식가격이 하락할수도 있습니다

    실제 과거에 하루에 90%이상 하락한 종목도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나 선진국은 자본시장이 100년이 넘는역사가 되면서 자본시장이 매우 효율화가 되어있기 때문에 시장의 별도의 제도장치로 상하한가 제도를 두지않는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주식 시장의 하루 가격 변동폭은 기준가 대비 상하 30%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이 제한 폭까지 오르면 상한가. 내리면 하한가라고 부릅니다. 이 제도는 2015년 6월 15일부터 기존 15%에서 확대된 것입니다. 다른 나라, 특히 미국의 경우 주식의 하루 가격 변동폭은 우리나라와 다릅니다. 미국 주식 시장에는 개별 종목에 대한 일일 상한가/하한가 제한이 없습니다. 즉, 이론적으로는 하루에 주가가 몇 배로 오르거나 반 토막 이상으로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도 특정 기업의 중대한 호재나 악재 발생 시 하루에 수십 퍼센트씩 주가가 변동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미국은 개별 종목에 대한 사하한가 제한이 없으며, 시장 전체의 급락 시 발동되는 서킷 브레이커와 같은 변동성 완화 장치는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주식시장은 한국과 달리 하루 등락폭 제한이 없습니다. 이론상 무제한 상승과 하락이 가능하며, 시장 전체가 급락할 경우 S&P 지수 기준으로 7%, 13% 하락시 15분 거래 정지, 20% 하락시 당일 거래가 중단되는 서킷브레이커 제도만 운영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익히 아시는 바대로 한국 주식 시장의 30% 상하 가격 제한폭이 있습니다. 미국은 가격 제한폭이 없어서 이론적으로 주식 가격이 무한정 또는 제로에 수렴할 수도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라나라는 상한가 하한가 제도가 있어서 하루 주식의 최대 변동폭이 30%로 제한돼 있습니다. 다만 상장 당일이나 정리매매 기간에는 변동폭 제한이 없습니다. 미국 주식의 경우에는 상시 변동폭 제한이 없어서 주가가 매우 크게 오르거나 내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증권 거래시 상하한가 제한이 30%로 정해집니다.

    다만 미국 주식의 경우 거래의 자유도를 높히고 유동성을 위해 상하한가 제한을 두지 않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윤민선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하루 주가 등락 폭에 제한을 두는 가격제한폭 제도(Price Limit Rule)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30%로 설정되어 있어 , 전일 종가 대비 당일 주가가 최대 30%이상 오르거나 내릴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습니다.

    이는 과도한 가격 급등락을 막고 투자자 보호와 시장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반면 , 미국 증시는 이러한 개별 종목에 대한 가격 제한폭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시 말해 , 미국 주식은 하루에 몇%든 오를 수도 있고 , 내릴 수도 있습니다.

    예컨대 특정 재료나 호재 , 혹은 악재에 따라 하루만에 100% 이상 상승하거나 폭락하는 일도 가능합니다.

    다만 , 미국에는 시장 전체의 급격한 변동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도로서 서킷 브레이커 (Circuit Breaker) 제도가 존재합니다.

    이는 S&P500 지수가 일정 비율 이상 하락할 경우 전체 거래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제도로 , 시장 패닉을 방지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ㆍ 1단계 : -7% 하락 시 15분간 거래 중단

    ㆍ 2단계 : -13% 하락 시 또다시 15분간 거래 중단

    ㆍ 3단계 : -20% 하락 시 당일 거래 종료

    요약하자면 , 한국은 개별 종목에 대해 ±30% 가격 제한이 있으며 , 미국은 개별 종목에 제한이 없지만 시장 전체에 대해 서킷 브레이커를 적용하는 구조로 운영됩니다.

    이로 인해 미국 시장에서는 보다 급격한 주가 변동이 가능하며 , 이는 높은 수익 가능성과 동시에 큰 리스크를 내포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스닥과 코스피 시장에서 상한가/하한가 폭은 30%로 제한됩니다.

    이는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제도로, 급격한 가격 변동으로 인한 시장 혼란 방지 목적입니다.

    미국 제한폭이 없거나 서킷브레이커 방식으로 대응하므로 구조가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 우리나라는 상하한가가 +-30% 이지만 미국이나 다른 선진국 같은 경우는 하루에 움직일 수 있는 제한 폭이 없습니다.

    그래서 미국은 하루에 수백% 등락하는 종목이 간간히 나오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현조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한국)는 하루 주가 변동 제한폭이 상·하한가 ±30%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반면 미국 주식시장에는 가격 제한폭(상하한가)이 없습니다.
    따라서 기업에 따라 하루에 수십 퍼센트 급등하거나 급락할 수 있습니다.
    다만, 급격한 변동 시 거래를 일시 중단하는 서킷브레이커 제도가 존재합니다.
    즉, 한국은 가격 제한으로 안정성을 추구하고, 미국은 시장 자율에 맡기는 방식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미국의 경우는 인상폭에 제한이 없습니다

    • 즉 상하한가 제도가 없습니다

    • 오히려 이 제도가 없기 때문에 거품이나 폭락의 충격이 크지 않고 단기간에

      제 가격을 찾아가는 긍정적인 면이 더 큽니다

    • 반면에 문제는 우리나라는 미국에 비해 규모가 작기 때문에 작은 바람에도

      크게 흔들릴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하루 주식 인상폭이 30%이지만 미국은 제한폭이 없습니다.

    말그대로 자본주의 시장에서의 무한경쟁이라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증시는 개별종목별로 +-30프로라는 하루 가격제한폭이 있습니다

    문의하신 미국의 경우 미국 증시는 개별종목 가격제한폭이 따로 없습니다 그래서 하루 200프로씩 오르는 종목도 나오죠 반대로 하루 -90프로도 나올수 있는게 미국 증시입니다!

  • 안녕하세요. 임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경우는 제한이 없습니다. 당연히 하락 최대 제한 폭은 100겠지요.

    그래서 미국의 동전주/밈주식들은 사실 매우 위험한 투자가 될 수 있으니 신중하게 투자하셔야 합니다.

    그 밖에 중국 본토주식은 상하 10% 제한이고, 주식시장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은 주가상한폭제한이 없습니다. 오랜역사를 가지고있는만큼 훨씬더 제도나 시스템이 잘 정비가 되어있죠 다만 시장의 급변동상황을 막기위해 서킷브레이크가 존재해서 어느정도의 가격제한하는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은 상하한폭이 없습니다. 그래서 하루만에 휴지가 되거나 하루만에 1000%이상 상승도 종종 찾아볼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은 우리나라 증시와는 다르게 상하폭 제한이 없어서 하루에도 수백퍼센트 이상 상승하거나 하락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하루 가격 변동 한도는 종목의 전일 종가 대비 ±30%로 설정돼 있습니다.

    즉 주가가 하루에 최대 30% 오르거나 내릴 수 있습니다.

    반면, 미국주식시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일일 가격변동 한도가 없습니다. 다만, 시장 변동성이 극단적일 경우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해 거래가 일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주가의 상하한가폭은 시장가 기준으로 플러스 30퍼센트, 마이너스 30퍼센트입니다. 정리매매 종목, 신규 공모주 상장이 아니면 이렇게 운영이 됩니다. 다만 미국의 경우 상하한가 제한 없이 주식시장을 운영합니다. 따라서 엄청난 호재가 있는 종목의 경우 30퍼센트 이상의 주가가 상승한다고 보실 수 잇죠. 또는 엄청난 악재에는 마이너스 30퍼센트 이상의 하락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의 경우 주식의 하루 인상폭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미국의 경우에는 인상폭도, 인하폭도 전혀 제한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말 그대로 1,000퍼센트도 오를 수 있고 100퍼센트도 내려갈 수 있습니다.

    그러니 조심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