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환율 상승시에 경제에 어떤 영향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요즈음 환율이 달러당 1400원을 넘어
서면서 이슈가 되기도 하는것 같은데
원회가치 하락이 우리나라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원화 가치 하락은 수출 경쟁력을 높여 기업들의 수익 증가에 기여할 수 있지만, 동시에 수입 물가 상승을 유발하여 소비자 부담을 가중시키고, 외채 상환 부담을 증가시켜 국가 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외국인 투자 심리를 위축시켜 자본 유출을 야기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경제 불안정성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이 올라가면은 우리 같이 후추를 많이 하는 나라 입장에서는 조치가 않습니다 수출할 때에는 이득이 적어지고 수입을 할 때에는 더 비싸게 가져와야 되기 때문에 우리나라 물가가 오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이 상승하면 우리나라 재정에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과거 IMF 시기에도 환율이 1900원대까지 상승하면서 국가 부도 사태가 발생했었습니다
따라서 환율이 상승하면 물가도 상승하고 우리나라 투자시장에서 외국인 자본이 빠져나가는
특징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원화가치 하락은 우리나라 경제에 여러 영향을 미칩니다. 수출 기업에는 환율 상승으로 인해 가격 경쟁력이 높아져 수익성이 개선될 수 있지만, 반대로 원자재와 에너지의 수입 비용이 증가해 제조업과 소비자 물가 상승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환율이 상승하면 수출품의 가격이 하락하여 우리나라 수출기업의 해외에서의 경쟁력이 강화됩니다. 이에 따라 수출이 증가하고 수출기업의 수익성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반면 수입품의 가격은 상승하여 수입기업의 수익성은 악화되고 국내물가 또한 상승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이러한 달러환율의 강세로 인하여
원자재 수입단가가 상당히 높아질 수 있는 등
이에 따라서 향후 우리나라의 물가상승을
초래할 여지도 있어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원 달러 환율이 급속하게 상승하게 되면 우리나라 수출 기업의 수출이 늘어날 수 있어서 긍정적입니다. 다만 원자재 수입비용이 늘어나서 비용은 늘어납니다. 그리고 일반 국민들 입장에서도 수입물품 가격과 에너지. 가격이 올라가서 전체적으로 물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호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원화 가치 하락(환율 상승)은 우리 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미칩니다. 긍정적으로는 수출기업이 가격 경쟁력을 가지면서 수출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주요 수출 기업들의 매출 증가로 이어져 국내 제조업 활성화를 도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정적 영향도 큽니다. 첫째, 원자재 수입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에서 수입물가가 상승하면서 기업 생산비용과 소비자 물가가 올라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둘째, 달러 표시 부채를 보유한 기업과 개인의 상환 부담이 증가합니다. 셋째, 외국인 투자 자금이 유출되면서 금융시장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화 약세는 수출 증대라는 이점이 있지만, 물가 상승과 경제 불확실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수입 물가에 악영향을 끼칩니다. 주요 원자재와 식자재 등을 수입에 의존하는 한국 입장에서는 물가에 부정적일 수 있고 외국인 투자가의 경우 환손실이 커지기 때문에 매도 압박을 받아 연쇄적인 주식 등 원화 표시 금융 자산 가격 하락의 악순환에 빠질 수 있습니다. 지난 주말 금융당국이 구두 개입을 한 이유는 이러한 악순환을 막고자 하는 의지를 피력한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원화가치 하락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기본적으로 원화가 떨어지면
가장 먼저 나타나는 것은 물가가 오르게 됩니다.
수입하기 때문에 수입 물가가 오르고
결국 전체적인 물가를 견인해서 올리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