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전국 모든주택동향에서 30년이상된 주택비율이 얼마나되나요?
국내 전국의 아파트 빌라 단독주태등을 모두 포함한 모든 전국주택동향에서 30년이상된 주택이 상당하고 하던데 구체적으로 얼마나 비율이 높은것인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우선 단독주택 기준은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 기준 사용연수 30년이상된 단독주택(다가구포함)이 전체의 52.8%로 절반이 넘습니다. 또한 20년이상 ~30년미만은 21.1%로써 10개중 7개는 20년이상된 주택으로 볼수 있습니다. 지역별로는 부산, 광주,전남, 서울순으로 30년이상된 단독주택 비중이 높은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0년이상 된 연립주택의 경우는 전체의 37.5%, 다세대 주택은 13.1%이고, 아파트의 경우는 11.3%로 나와있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에서 준공 이후 30년 이상이 지난 주거용 건축물은 238만1669동으로 전체의 52%를 차지했다.
<출처 : https://www.chosun.com/economy/real_estate/2024/04/17/JOM2ZYRFYRDA3ERTGVDZHIM56E/>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3년 전국 건축물 현황'에 따르면, 전국에서 사용승인 이후 30년 이상이 지난 주거용 건축물 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52.0%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아파트, 단독주택, 연립, 다가구·다세대 등 여러 유형의 주택을 동 기준으로 집계한 것으로, 전국적으로 주거용 건축물의 절반 이상이 지은 지 30년을 넘겼다는 뜻입니다. 수도권에서는 30년 이상 된 주거용 건축물의 비율이 43.3%, 지방은 55.2%로 나타났습니다. 17개 시·도별로 보면 부산의 노후 주택 비율이 66.7%로 가장 높았으며, 대구 65.5%, 대전 62.8%로 뒤를 이었습니다.
인구주택총조사 2021년에 실시한 자료 이고 현재 2025년 진행중에 있습니다.
우리나라 총 주택수는 1,881만호
주택의 노후도
노후기간 20년 이상 주택 비율은 50.2%
노후기간 30년 이상 단독주택의 비율은 73.9%
노후기간 20년 이상 아파트 비율은 43.9%
노후기간 30년 이상 아파트 비율은 11.3%
입니다. 지금은 2024년이므로 비율이 좀 더 올라 갔을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