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슬거운발구지129
슬거운발구지12922.07.05

단열성이 높아야 화재강도가 높은가요??

1.단열성 수치가 낮은 물질이어야 화재강도가 높은거 아닌지 궁금합니다
열을 차단하는 성질이 높으면 화재가 덜나야되는데 화재강도가 더 높을수있나요??

2.열전도율이 높은 물질은 화재강도가 낮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단열성과 화재강도는 다른 개념으로 보아야 합니다.

    1번 질문에 대한 예로 한가지를 들면,

    단열재로 스티로폼을 많이 사용하지요? 컨테이너 형식의 간이 집, 냉동식품 택배박스 전부 스티로폼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화재에는 어떻죠? 오히려 더 잘 타고 유독가스까지 만들어내지요?

    그 반대의 예를 들어보죠. 시멘트는 불에 타지 않죠. 하지만 단열재로 불리우진 않습니다.

    즉, 화재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불에 잘타지않는 성질'이며 이는 단열특성과는 구분되는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열전도율 또한 같은 식으로 설명이 가능합니다.

    금속의 열전도율은 매우 좋으나 화재를 더 크게 일으키는 역할은 하지 않죠.

    열을 잘 전달하는 것 또는 잘 차단하는 것은 발연되지 않은 상태의 온도에서 이야기하는 특성이며, 이는 불이 붙어서 타기시작하는 순간부터 제대로된 역할을 하기 어려울 확률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1. 단열이라는 것은 열을 차단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직접적으로 화재강도와 연관성은 없으며 화재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가연성을 체크하셔야 합니다. 단순히 단열로는 파악하기 힘듭니다.

    2. 열전도율도 마찬가지입니다. 열을 전달하는 물질의 성질일 뿐 이는 화재강도로 평가하지 않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단열성이란, 물체와 물체 사이에 열이 서로 통하지 않도록 막는 성질입니다.

    열이 통하지 않으니 화재강도가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