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건강관리

식습관·식이요법

2년안에 서울가기
2년안에 서울가기

평소 식사를 빨리 먹는 편인데 천천히 먹으려고 해도 습관이 잘 안바껴요

평소 식사를 빨리 먹는 편인데 천천히 먹으려고 해도 습관이 잘 안바껴요 그런데ㅜ건강에는 안좋을것 같아 걱정돼요 체중증가나 소화에 영향을 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예은 영양전문가입니다.

    우리의 뇌가 포만감을 느끼는데에는 최소 20분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천천히 오랫동안 씹고 식사시간을 충분히 확보해보는 연습을 해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 식사를 빨리하는 습관은 체중 증가와 소화 문제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우리의 뇌는 음식을 섭취한 후 약 20분 정도가 지나야 포만감 호르몬을 분비하여 '배부름' 신호를 인식하는데, 너무 빨리 먹으면 이러한 신호가 도달하기 전에 과식하게 되어 칼로리 섭취가 늘어나 체중 증가로 이어집니다. 또한, 음식을 제대로 씹지 않고 삼키면 소화 기관에 부담을 주어 더 많은 소화액을 필요로 하고, 음식물과 함께 공기를 많이 삼키게 되어 소화 불량, 복부 팽만, 잦은 트림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식사 속도를 늦추는 것은 섭취량 조절과 소화 효율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호연 영양사입니다.

    뇌에서 포만감을 느끼는데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빨리 먹으면 뇌가 포만감을 느끼기 전에 과도하게 먹게 되어 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음식을 제대로 씹지 않고 삼키면 소화 기관에 부담을 주어 소화 불량. 속쓰림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혈당 상승. 영양소 흡수 저하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질문하신 내용 잘 확인해 보았습니다.

    식사를 빠르게 하는 습관이 신체에 여러가지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가장 대표적인 문제가 포만감 신호 지연입니다. 우리가 음식을 삼키면서 위가 팽창하면 배부른 신호가 뇌에 도달하기까지 약 15~20분정도 걸립니다. 이 시간을 기다리지 못하고 급히 먹게되면 실제로 필요한 양보다는 훨씬 많이 섭취하게 되며 체중 증가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그리고 빠른 식사는 위에 부담을 주다보니 소화 효율도 떨어뜨리게 됩니다. 음식을 충분히 씹지 않게 되면 침 속의 소화 효소가 작용하지 못하면서 위는 강하게 수축하니 음식물을 분해하다보니 더부룩함과 속쓰림이 생기게 되죠. 장기적으로는 역류성 식도염, 기능성 소화불량 문제로 번지게 됩니다..

    습관을 바꾸시려면 단번에 천천히 먹어야지보다 구체적인 행동 전략이 필요해요. 예로 식중에 젓가락은 내려놓고 한입을 마저 삼킬 때까지 기다립니다. 그리고 식사 시간은 타이머로 20분으로 설정해서 켜두시면 됩니다. 식전에는 물 한컵을 마셔서 위에 미리 포만감을 높이는 방법도 효과적입니다. 천천이 드시는건 대사 건강, 체중 관리를 도울 수 있답니다.

    참조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