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가입시 고지의무위반시 어떻게해야하나여?
우체국보험의 실비를 가입하고 작년에 우체국 착한실비보험으로 전환뒤 청구를했는데 고지의무위반으로 연락이왔습니다 고지의무위반으로 해지된다면 다른 실비보험이 가입하는데 영향이있나요? 해지당했을시 어떻게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김종형 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고지의무위반으로 해지가 된다면 다른보험사에 이력이 공유되어 가입하는데 영향을 미칠 확률이 높습니다.
그래서 고지위반은 사소한거라도 꼭 고지를 해줘야 합니다.
해지당했을때는 정확한 고지를 통해 보험사별로 심사를 받아보셔야 결과를 알수 있습니다.
보험사나 설계사의 권유로 착한 실손변환을 많이 하고 있는데 저는 개인적으로 비추합니다.
착한실손이라하여 보험료가 저렴하다고는 하지만 예전 실손의 비해 보장이 작아지기때문에 무조건 예전 실비는 유지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혹시 실손가입시 고지위반이 본인 의지가 아닌 설계사는 고지위반권유나 고지했지만 설계사가 반영을 안했다면 민원을 통해 기존실손의 복구나 현재 실비의 유지가 가능할수도 있으니 정확한 상황을 보험사에 주장하여 기존실비를 살리거나 현재 실비를 유지할수 있도록 하는것이 좋을것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정광성 손해사정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고지의무 위반 사항이 있을 경우 보험은 해지됩니다.
해지 사유인 고지의무 위반 내용에 따라 다른 의료 실비 가입에 영향을 미칠수 있습니다.
고지의무 위반 사항이 어떤 내용인지가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고지의무를 성실하게 지키지 않아 고지의무 위반으로 해지되었다면 타 보험사의 보험 가입에도 제한이 있을 수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조정기 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착한 실손으로 전환했다면 착한실손 이전에 가입했던 조건 그대로 가입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어떤 부분이 고지위반이되었을까요? 그런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해약하고 다시 가입하셨다면 몰라도 "계약자전환"을 통해서 전환했다면 처음 가입했을때의 건강체 조건을 그대로 전환받는 것입니다. 즉 이전에 가입한 보험과 똑같은 효력이 발생됩니다. 그리고 해약이 되시면 현재 몸이 아프다는 말씀인데 다시 건강체 실손으로 가입할 수 없습니다.
당시 '계약자전환'을 실시한 설계사에게 정확히 알아보셔야합니다. 설계사의 실수가 있었을수도 있으니까요? 물론 전환할때도 고지해야할 것은 있습니다. 몸이 아프다고 고지를 했다고 해서 전환실손은 유병자실손으로 바뀌지 않습니다. 보상받으실 것이 많으면 손해사정인분에게 문의하심이 좋을듯 싶습니다. 답변이 도움이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