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치과 이미지
치과건강상담
치과 이미지
치과건강상담
정직한솔개243
정직한솔개24322.01.12

아래어금니 보철하면서 위어금니를 갈아버려서 상아질이 다 벗겨진거 같은데..

아래 어금니가 충치가 심해 보철을 했습니다. 치과에서 본을 뜰때 위아래 잘 맞도록 윗니 상아질을 다 갈아버렸고 시간이 흐른디 점점 윗니가 시리고 마모도 심해져서 이젠 윗니도 보철을 해야할것 같네요. 이게 정상적인건지 아니면 처음 보철을 할때 갈지 말라고 했어야 했는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용균 치과의사입니다.

    원칙적으로는 반대쪽 치아를 갈지 않는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반대쪽 치아가 내려오거나 틀어져있어서 보철할때 방해가 된다면 방해되는 부분을 삭제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말씀하시는 증상만으로는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힘듭니다. 보통 교합 조정을 하여 윗니를 갈아내게 되지만 이것은 상아질을 갈지 않고 법랑질 수준에서 아주 미세하게 갈게 됩니다. 즉 시간이 지나서 마모가 되었다면 갈아버려서 나타난 증상이라기보다는 특정한 원인에 의해 마모가 진행되어서 나타났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증상에 대해서 다른 치과 등을 방문하여 검진을 한번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보철 크라운을 할 때 위아래 교합 균형을 맞추기 위해 비정상으로 돌출된 부분을 조금 삭제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비정상적인 윗니에 맞추면 보철 크라운 하는 아랫쪽이 비정상적으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

    보철 치료시 교합이 높아 맞물리는 치아(현재 상황에서는 윗니)를 삭제해야 하는 경우라도 상아질까지 삭제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상아질을 삭제하면 바로 치아에 시린증상과 통증이 발생합니다.

    해당 부위의 삭제가 필요한 경우에는 법랑질에 한정하여 최소(1mm 이내)로 삭제합니다.

    치료 과정상 교합높이가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행해지는 치료로, 교합삭제를 하지 않았다면 아래치아의 이상적인 보철물의 형성이 어려웠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해당 시기의 치아 상태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치아 삭제가 꼭 필요했는지에 대한 판단은 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현재 치아에 시리고 마모가 발생하는 것은 치료로 인한 것이라기 보다는 식습관이나 이갈이 습관 등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철물할 공간이 너무 나오지 않으면 환자분 동의하에, 대합치를 조정을 하게됩니다. 이는 어쩔수 없는 상황에서 진행하게 되는겁니다. 치아를 삭제할때 정말 필요한만큼한 삭제를 진행하기 때문에 그것때문에 치아가 시리거나 그러시진 않으셧을꺼에요. 치과를 가셔서 먼저 상담을 받아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1.12

    안녕하세요. 장인아 치위생사입니다.

    보철물 장착시 교합의 원인이 대합치(반대치아)에 있으

    면 미세하게 삭제해 조정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보철물에 의해 닳아서 그럴 가능성도 있습니다.

    건강하세요^^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철물을 제작할때 대합치아가 너무 정출되거나 해서 보철물의 두께가 적절히 나오지 않는다면 대합치아를 삭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마모는 치아에 가해지는 힘이 너무 클때 생기는 경우도 있어요.

    이런 마모에 의해서 치아에 불편감이 커진다면 보철치료를 하는것이 좋을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보철때문에 공간이 부족한 경우 대합치를 조정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조정양이 1~2mm 이내이므로 시린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시린 증상이 생기기도 하며 이때는 신경치료 및 크라운으로 보철을 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현 치과의사입니다.

    아래 치아를 크라운을 할때, 공간이 안나오는 경우 어쩔수없이 위의 치아를 약간 삭제해야하는경우도 있습니다.

    삭제량이 보통은 많지 않기때문에 큰 영향은 없지만, 만약 위의 치아가 시리고 통증이 있다면 신경치료나 크라운을 해야할 수 있습니다.

    치과에서 정확히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