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에 대해서 버핏은 왜 부정적일까요?
워렌 버핏은 가상화폐에 대해서 매우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는데요. 비트코인 가격이 우상향을 했는데도 왜 그렇게 생각하시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워렌 버핏이 비트코인에 부정적인 이유는 내재 가치가 없고, 생산적인 자산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는 비트코인이 현금흐름을 창출하지 않으며, 단순한 투기 대상일 뿐이라고 판단합니다.
또한, 정부 규제와 사용처 제한으로 인해 장기적인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보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가격이 오르더라도, 그의 투자 철학인 ‘가치 투자’ 기준에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회의적인 입장을 유지하는 것입니다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비트코인 투자에 대해서 워렌 버핏이 부정적인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마도 비트코인 및 가상화폐가 실물 자산 등을
기반으로 하지 않기 때문에 그런 의견을 보인 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워랜버핏은 가치투자를 중시하는 투자자 입니다. 따라서 기업의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비트코인은 기업의 실체가 없고 사용성이 없기 때문에가치가 없다고 보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워렌 버핏은 가치 투자의 대가입니다. 비트코인은 그 자체가 어떤 기업이 돈을 벌어내는 것과 같은 실질적 가치가 있는 존재라고 생각하지 않고 단순 투기성 상품이라고 보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워렌버핏은 저평가 된 종목을 선별하여 가치투자를 하며 장기 투자를 하는 투자가로 알려져있습니다.
즉 전통 금융에 집중 된 관점을 가지고 있고 비트코인 자체를 생산적인 자산이 아니라고 생각 합니다. 즉 비트코인은 현금 흐림이나 배당과 같은 가치를 창출하지 않기 때문에 가치평가가 어렵다고 생각하기에 투자 대상이 아니라 단순하게 투기적 도구로 여깁니다.
이에 아무리 가격이 오르더라도 본질적 가치를 인정하지 않기에 부정적인 입장을 고수하는 것 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워렌 버핏이 비트코인과 가상화폐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이유는 그의 고유한 투자 철학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버핏은 2018년 비트코인을 "제곱된 쥐약"이라고 표현했으며, 같은 해 CNBC와의 인터뷰에서 "가상화폐는 결국 나쁜 결말을 맞을 것이고, 우리는 절대 그 시장에 발을 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했습니다.
그의 비판은 주로 세 가지 핵심 논거에 기반합니다:
내재적 가치의 결여: 버핏은 비트코인이 실질적인 가치를 창출하지 못한다고 강조합니다. "비트코인은 아무것도 재생산할 수 없고, 수표를 발행할 수 없으며, 실질적으로 아무런 기능도 없다"고 말했습니다.
생산성 부재: 버핏은 수익과 현금 흐름을 창출하는 기업 주식을 선호합니다. 그는 아파트는 임대료를, 농장은 식량을 생산하지만, 비트코인은 그 어떤 것도 생산하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
순전한 투기성: 버핏은 "비트코인의 유일한 가치는 다음 구매자가 얼마나 지불할 의향이 있는가에 달려있다"고 말하며, 이는 순수한 투기적 자산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2022년 주주총회에서 버핏은 "세상의 모든 비트코인을 25달러에 팔아달라고 해도 절대 받지 않을 것"이라며 "그걸로 무엇을 할 수 있단 말인가? 결국 다시 팔아야 하고, 그건 아무런 가치도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흥미롭게도 버크셔 해서웨이는 최근 브라질의 디지털 은행 Nu Holdings에 투자했습니다. 2021년 5억 달러를 시작으로 추가로 2억 5천만 달러를 투자했으며, 2025년 3분기 기준으로 약 12억 달러 가치의 86백만 주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버핏과 그의 투자 팀이 가상화폐에 대한 입장을 다소 유연하게 조정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버핏의 근본적인 투자 철학은 여전히 생산적 자산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가상화폐의 투기적 특성과 내재적 가치 부족에 대한 그의 견해는 크게 변하지 않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버핏의 투자철학과 맞지 않아서라고 생각합니다. 버핏은 투자라는 것은 내가 투자한 돈이 이용되어 생산적인 결과를 나아서 이게 성장을 이끄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니까 기업에 주식투자하면 이 회사는 내 투자금을 활용해서 제품을 만들고 이게 회사의 이익을 가져다 주고 나는 이익을 나눈 것이죠.
그래서 버핏은 금과 부동산(아예 안한건 아닙니다) 투자를 선호하지 않습니다. 모두가 인정하는 가치저장수단인 금과 부동산도 좋아하지 않는데, 새로 생긴 신생자산인, 디지털이 현물인 비트코인은 더 선호하지 않을거 같아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버핏은 투자의 핵심은 기업의 내개 가치를 파악하고, 그 가치보다 저렴한 가격에 매수하는 것이라고 믿습니다. 그는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는 실질적인 생산 활동이나 수익 창출 없이, 단순히 다른 사람이 더 높은 가격에 사주기를 바라는 투기적 자산으로 간주합니다. 농지나 부동산은 식량을 생산하거나 임대 수익을 올릴 수 있지만, 비트코인은 아무것도 생산하지 못한다고 지적합니다. 금 역시 자체적으로 수익을 내지 못하기 때문에 투자를 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가지고 있습니다. 버핏은 자산은 무언가를 생산해낼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주식은 기업의 이익이라는 형태로, 채권은 이자라는 형태로 수익을 발생시킵니다. 하지만 비트코인은 그러한 생산적인 활동 없이 가격 변동에만 의존하는 자산이라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워렌버핏는 주식은 기업의 실적이나 재료, 산업의 움직임 등 투자를 고려하는 투자 척도가 있고 기업이라는 가치가 있지만 비트코인은 가치가 0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자신이 큰돈을 투자하는 비트코인이 무엇 때문에 오르는지 왜 가치가 있는지에 대한 충분히 이해가 안가기 때문에 할 수 있는 말이죠.